Page 11 중학교 기술가정① 지도서
P. 11



















2 2015 개정 기술·가정과 교육과정의 개정 방향



2015 개정 기술·가정 교과 교육과정의 가장 큰 특징은 교과 역량 제시, 내용 체계표의 구조화, 핵심
개념을 중심으로 한 초·중·고 연계성 강화, 안전 교육 반영이다.


첫째, 총론에서 제시한 핵심 역량을 기술·가정과 교육과정에 반영하였다.
총론에서 제시한 핵심 역량 요소(자기 관리 역량, 지식 정보 처리 역량, 창의적 사고 역량, 심미적 감
성 역량, 의사소통 역량, 공동체 역량)를 중심으로 기술·가정과 교육과정 문서에 반영하되, ‘가정생활,
기술의 세계’ 분야의 학습을 통해 기를 수 있는 교과 핵심 역량(실천적 문제 해결 능력, 생활 자립 능력,
관계 형성 능력, 기술적 문제 해결 능력, 기술 시스템 설계 능력, 기술 활용 능력)을 정의하고 교과 핵심
역량 하위 요소를 중심으로 기술·가정과 교육과정을 개발하였다. 즉, 기술·가정과의 지식, 기능(탐구
과정 및 전략), 가치 및 태도 요소가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통합적으로 발현되는 능력을 탐색하고 교육과
정 문서의 구성 요소인 성격, 목표, 내용, 교수·학습 및 평가, 교과서 개발 방향에 교과 핵심 역량을 일
관되게 반영하였다.

둘째, 교과의 핵심 개념을 중심으로 영역 및 내용 체계표를 구조화하였다.
기존 교육과정과 마찬가지로 내용 요소를 중심으로 하되, 이를 포괄하고 부연하는 ‘핵심 개념, 내용(일
반화된 지식), 기능(학생들이 할 수 있거나 할 수 있기를 기대하는 도달점 혹은 수행 기대), 성취 기준’도
내용과 기능을 결합한 형태로 진술하였다.


셋째, 초·중·고 연계성을 고려한 영역과 교과 교육과정의 리더십을 확보하였다.
교육과정 중심의 기술·가정과 수업이 학교 현장에서 진행될 수 있도록 기술·가정과의 5개 영역과 12
개의 핵심 개념, 기능을 명료화하고, 학교급 간 관련성과 연결성을 도모하였다.


넷째, 국가·사회적 요구로서 안전 교육을 강화하고 범교과 학습 주제를 반영하였다.
국가·사회적 요구의 교육적 내용을 수용하기 위해 기술·가정과의 지식 체계를 기반으로 한 범교과
학습이 충실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구성하였다. 특히, 기술·가정과 교육과정은 안전교육 강
화를 위한 요구를 충실히 반영하고, 윤리 및 진로 등과 같은 범교과 학습 주제를 제시하였다. 뿐만 아니
라 안전 교육 강화를 위해 신체적·정서적 건강의 내용을 마련하였고 구매 의사 결정 과정을 제시함으로
써 금융 교육에 관한 내용을 반영하였다. 또한 건강한 식생활을 위한 식품·영양 교육, 건강 가정을 위
한 가족 구성원의 역할을 포함하는 인구 교육, 양성평등하고 세대 간의 민주적인 의사 결정을 위한 일·
가정 양립 교육, 자원 관리 등의 환경 교육 등의 내용을 포함하였다.
























Ⅰ.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이해
8 9





중등기술가정지도서-3차제출.indb 9 2017-07-28 오후 12:59:09
   6   7   8   9   10   11   12   13   14   15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