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5 고등학교 디지털 논리 회로 교과서
P. 15
아래와 같이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아날로그와 디지털 생활용품을 찾을 수 있다. 빛의 파형과 소리의 파형
3
–3
–5
6
3
10 nm 10 nm 1nm 10 nm 10 nm 1m 10 nm
감마선 X선 자외선 적외선 초단파 라디오파
빛의 파형
그림 Ⅰ- 3 아날로그 기기 그림 Ⅰ- 4 디지털 기기
높은 소리 낮은 소리
높은 소리
낮은 소리
소리의 파형
2 우리 주변의 디지털 기기
일상생활 속에서 접하는 대부분의 신호는 아날로그 신호이다. 그럼에도 디지털 신
호로 변환하여 처리하는 것은 신호의 조작이 단순하고,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기 때
문이다. 이런 이유로 우리 주변의 아날로그 기기들은 빠르게 디지털화되고 있다.
CCD(Charge-Coupled Device)
디지털카메라의 이미지 센서로, 빛
을 전하로 변환시켜 이미지를 얻어
내는 센서이다.
스마트폰의 녹음 기능은 소리를 저장하고 재생 디지털카메라는 촬영한 사물을 렌즈를 통해 들
하는 것으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어온 빛이 CCD를 통해 빛의 세기와 위치에 따라
변환하여 처리한다. 밝기, 색상, 좌표 등의 디지털 정보로 변환된다.
그림 Ⅰ- 5 생활 속의 디지털 기기
탐구 아날로그와 디지털의 차이는 무엇일까?
활동
현재 시각을 디지털시계와 아날로그시계로 표시했을 때 어떤 장 · 단점이 있을지 생각해 보고, 아래 빈칸
을 채워 보자.
구분 디지털시계 아날로그시계
‘23시 59분 59초’와 같이 숫자로 표현할 수 있으므로 명확하게 구
장점
분할 수 있고, 항상 일정한 값을 표현할 수 있다.
단점 사람마다 다르게 읽을 수 있어 정확성이 떨어질 수 있다.
1. 디지털 시스템의 개요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