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97
P. 197
ERP 특집
저온 물류 ‘고부가 가치’를 창출하다
물류 산업이 점차 고도화되면서 부가 가치가 높은 물류 사업에 관심도 커지고 있다. 콜드 체인(Cold
Chain) 또는 저온 물류는 온도와 습도에 민감한 화물을 뜻한다. 바이오, 화공약품, 반도체, 농산물 등이
여기에 해당하는데 이러한 물품의 취급에는 최적 온도를 유지하고 공급 및 생산과 소비를 가능한 한 짧
은 시간 안에 처리할 수 있도록 철저한 재고 관리가 필요하다. 또한 다품종 소량 주문 방식 위주로 불필
요한 중간 재고를 줄이고, 유통 경로를 단축하기 위해 적시 생산 공급(JIT) 시스템 관리가 필요하며, 반
품, 체류, 인수 거절에 따른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한 관리 체계도 요구된다.
저온 물류는 한 공정의 수행만으로 효과를 거두기 어려우므로 공급자로부터 최종 소비자에게 이르는
전 과정의 종합적 품질 경영(TQM)이 요구된다. 또한 일부 대상물은 호흡 활성을 하는 유기체이기 때문
에 관리 기술이 단순하지 않으며, 상황에 따라 적용 기술도 변형시켜야 한다. 이와 같이 저온 물류의 기
술은 복합적인 종합 기술로 체계적인 도입이 중요하다.
저온 유통 시스템에 활용되는 기술은 주 기술과 보조 기술로 나뉜다. 주 기술은 저온 물류 시스템의 운
영에 직접 관련되는 기술로, 산지 예랭, 저온 포장, 저온 수송과 배송, 저온 보관 및 저장, 저온 판매 시설
과 관련된 기술을 뜻한다. 보조 기술은 저온 물류 시스템의 본래 목적인 선도 유지와 출하 조절 등의 기
능을 달성하기 위해 직·간접적으로 제공되는 기술이다. 이 기술에는 전처리 기술, 포장, 선도 유지 기
술, 표면 살균 및 안전성 관련 기술, 집·출하, 선별, 규격, 표준화, 정보, 환경 등이 포함된다.
공장
분배
최종 고객
냉장 수송 냉장 납품 배송
공장 또는
거점 냉장
물류 센터
업계 관계자는 “콜드 체인과 관련된 국제적인 표준을 마련하여 선진국 수준으로 기술력과 서비스를 진
보시켜 나가야 한다.”며 “국제적 표준이 없고, 포괄적 기준이 없는 상황에서 국제표준화기구(ISO) 등을
통해 가이드라인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설명하였다.
- 출처: <코리아시핑가제트>, 2016. 10. 6, 내용 발췌
4. 기업 자원 통합 관리 시스템 물류 관리 업무 적용 195
기업자원통합관리-본문3(142-205)0515.indd 195 2017-07-17 오전 11:57: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