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12
P. 312






이론 보충
대단원 평가 A 기본 심화



6
[1~14] 다음 물음을 읽고, 알맞은 답을 고르시오. (선택형) 매출 채권과 매입 채무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회계상의 거래에 해당하는 것으로 옳은 것은? ① 매출 채권은 당좌자산에 속하는 항목이다.
② 매입 채무는 유동 부채에 속하는 항목이다.
① 상품 ₩ 30,000을 주문하다 ③ 매출 채권은 외상 매출금과 미수금으로 구성된다.
② 현금 ₩ 20,000을 분실하다 ④ 매입 채무는 외상 매입금과 지급어음으로 구성
③ 건물 ₩ 90,000을 담보로 제공하고, 근저당을 설정 된다.
하다 ⑤ 매출 채권과 관련된 대손 상각비는 판매비와 관리
④ 월 급여 ₩ 50,000을 지급하기로 하고, 종업원을 비로 분류한다.
채용하다
⑤ 업무용 창고를 월 ₩ 60,000씩 지급하기로 하고,
임차 계약을 체결하다
7 계정 과목과 그 분류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2 거래의 결합 형태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건물은 유형 자산에 속하는 계정 과목이다.

② 미수금은 당좌자산에 속하는 계정 과목이다.
차변 요소 대변 요소
③ 선수금은 비유동 부채에 속하는 계정 과목이다.
① 자산의 증가 – 부채의 증가
④ 산업 재산권은 무형 자산에 속하는 계정 과목이다.
② 부채의 감소 – 자산의 감소
⑤ 임차 보증금은 기타 비유동 자산에 속하는 계정 과
③ 자산의 증가 – 자본의 감소
목이다.
④ 자산의 증가 – 수익의 발생
⑤ 비용의 발생 – 자산의 감소



3 현금 및 현금성 자산 계정으로 통합할 수 없는 계정 8 자본의 분류와 계정 과목의 연결이 옳은 것은?

과목은?
① 자본 조정 – 감자차익
① 현금 ② 단기 예금 ③ 당좌예금 ② 자본 잉여금 – 자기주식
④ 보통예금 ⑤ 현금성 자산 ③ 자본 잉여금 – 감채적립금
④ 이익 잉여금 – 이익 준비금
4 유형 자산에 속하는 계정 과목은? ⑤ 기타 포괄 손익 누계액 – 자기주식처분이익


① 비품 ② 경상 개발비
③ 산업 재산권 ④ 투자 부동산
⑤ 장기 매출 채권
9 기업의 손익계산서상에 영업외비용으로 분류할 수 있는
계정 과목으로 옳은 것은?
5 비유동 부채로 분류할 수 있는 계정 과목은? ① 보험료 ② 접대비


① 사채 ② 예수금 ③ 선수 수익 ③ 세금과 공과 ④ 무형 자산 상각비
④ 미지급 비용 ⑤ 단기 차입금 ⑤ 기타의 대손 상각비



310 Ⅴ. 회계 관리






기업자원통합관리-본문5(240-315) 향.indd 310 2017-07-17 오후 12:06:37
   307   308   309   310   311   312   313   314   315   316   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