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69 고등학교 기술가정 교과서
P. 169









산업 재해 | 인위적인 사고나 천재지변에 의해 발생하는 인명과 재산의 손실을 재해라 Link & Think
안전보건공단
하고, 근로자가 사업주에게 고용되어 생산 활동을 하던 중 사고나 질병으로 발생하는 인명
http://www.kosha.or.kr/
과 재산의 피해를 산업 재해라고 한다.
산업 재해는 주로 근로자의 과로나 기기 상태의 불안정 때문에 발생하지만, 완벽한 환경
에서도 근로자의 부주의 때문에 발생하기도 한다.

산업 재해의 유형 | 산업 재해는 크게 떨어짐, 넘어짐, 깔림, 부딪힘, 맞음, 무너짐, 끼임,
절단·베임·찔림, 감전, 폭발·파열, 화재, 업무상 질병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 중 공장

에서는 끼임, 업무상 질병, 넘어짐, 떨어짐, 맞음의 산업 재해가 자주 발생하고, 건설 현장
에서는 떨어짐, 넘어짐, 맞음, 베임·찔림, 부딪힘, 끼임, 절단이 자주 발생한다.



떨어짐 깔림 넘어짐 맞음








높은 곳에서 사람이 떨어짐. 쓰러지거나 뒤집힌 물체에 깔림. 사람이 미끄러지거나 넘어짐. 날아오거나 떨어진 물체에 맞음.


무너짐 부딪힘 끼임 감전









건축물이나 쌓인 물체가 무너짐. 물체에 부딪힘. 기계 설비에 끼이거나 감김. 전기 접촉, 방전으로 충격을 받음.
그림 Ⅷ-4 산업 재해의 유형 분류 ※ 출처: 교육부, 『학교 안전 교육 7대 표준안』


산업 재해의 예방 | 1931년 허버트 윌리엄 하인리히는 불안정한 사회 환경과 근로자의
개인적인 결함이 불완전한 행동, 즉 부주의로 이어지고, 부주의가 사고를 일으켜 재해를
발생시킨다고 하였다.
하인리히의 도미노 이론
여러 가지 요인 중 근본적 원인인 사회 환 • 1단계: 사고를 일으킬 수 있는 바람직
경이나 인간의 결함은 고치기 쉽지 않지 하지 않은 유전적 특성 및 인간 성격
을 바람직하지 못하게 할 수도 있는
만, 인간의 불안전한 행동이나 기 사회적 환경
• 2단계: 개인적 기질에 의한 결함(과격
계적·물리적 위험과 같은 요인은
한 기질, 신경질적인 기질, 무모함 등)
상대적으로 제거하기 쉽다. 따라 • 3단계: 불안전한 행동(인적 요인) 또는
불안전한 상태(물적 요인)
서 이를 사전에 없앤다면 산업 재 • 4단계: 생산 활동에 지장을 초래하는
해를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모든 사건
• 5단계: 사고의 최종 결과, 인명의 상해
그림 Ⅷ-5 하인리히의 도미노(domino) 이론 나 재산상의 손실

02. 산업 재해 예방 167
   164   165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