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9 고등학교 기술가정 교과서
P. 39










신생아기 발달 특징
피부
주름이 많고 붉은빛을 띠며 지방질의
태지로 덮여 있다. 앞숫구멍과 뒷숫구멍
신체 비율
신체적 갓난아이 머리에서 미처 뼈가
특징 머리 둘레가 가슴둘레보다 크며, 머 형성되지 않아 말랑말랑한 곳
리가 신장의 1/4을 차지한다.
으로, 앞숫구멍은 이마뼈와 정
수리뼈가 만나는 가운데 부분
호흡과 맥박 및 체온
이고, 뒷숫구멍은 정수리뼈와
1분에 35~45회 정도의 불규칙한 뒤통수뼈 사이를 말한다.
복식 호흡을 하며, 맥박은 120~
160회 정도로 빠르고 불규칙하다.
체온은 어른보다 다소 높다.
머리
키와 몸무게
앞숫구멍과 뒷숫구멍이 열려 있어 두개골
키는 50cm 전후, 몸무게는 2.6~
이 말랑말랑하다. 뒷숫구멍은 6~8주경에,
4.1kg 정도이다.
배꼽 앞숫구멍은 14~18개월경에 뼈가 생겨 닫
배꼽의 탯줄은 생후 일주일 정도 히므로 머리에 심한 충격을 받지 않도록 보
지나면 자연스럽게 떨어진다. 호해야 한다.


신생아 황달
생후 2~3일경에 눈과 피부가 노랗게 되는 현상. 간 기능이 미숙하여 생기는데, 일주일 정도 지나면 사라진다.
생리적
특징 태변 생후 1~2일경에 배설하는 암녹색의 끈적끈적한 변이다.
생리적 체중 감소
생후 3~4일 동안 태변을 배설하고 피부의 수분이 증발해 몸무게가 줄어든다. 일시적인 현상으로 7~10일 후에 회복된다.

미각 태아 때부터 양수를 먹으며 미각을 발달시켜 태어나자마자 맛을 구분할 수 있다.
후각 엄마 젖 냄새에 민감한 반응을 보인다.
감각 기능의
발달 청각 소리가 나는 쪽으로 고개를 돌리고 여러 가지 소리와 엄마 목소리를 구분할 수 있다.
촉각 피부 감각이 발달하였으며 온도에 민감하다.
시각 시력이 약하며 다른 감각에 비해 가장 늦게 발달하는 감각이다.


신생아의 반사는 가지고 태어나는 본능적이고 무의식적인 행동으로, 신경 조직이 발달하면서 점차 사라진다.
•빨기 반사 입에 무언가 닿으면 무조건 빨려고 한다.
신생아 •모로 반사 놀랐을 때 팔과 다리를 벌렸다가 다시 오므린다. 껴안기 반사라고도 한다.
반사 운동
•쥐기 반사 손에 닿는 손가락이나 물건 등을 꼭 움켜쥔다.
•걷기 반사 아이를 세워 발을 바닥에 닿게 하면 걷는 동작을 한다.
•바빈스키 반사 신생아의 발바닥을 간질이면 발가락을 바깥쪽으로 부채 모양으로 쫙 폈다가 다시 오므린다.

모로 반사



쥐기 반사





바빈스키 반사

01. 자녀 돌보기 37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