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7 고등학교 공업 일반 교과서
P. 17










3 산업 구조의 변화와 분류 방식

산업 구조란 한 나라의 경제 구조에서 농업, 공업, 서비스업 등 각종 산업이 차지하
는 비중과 상호 연관 관계를 나타낸 것으로, 경제 발전 정도를 예측하는 지표가 된다.


(1) 산업 구조의 변화

한 나라의 경제가 발전할수록 1차 산업에서 2차 산업으로, 2차 산업에서 3차 산업 탈공업화 현상
제2차 산업(광업, 공업)의 비중이 감
으로 자본과 노동력 및 소득의 비중이 커지는 변화가 일어난다. 소하고, 서비스업 및 정보 산업의
우리나라의 경우 1970년대 초에는 1차 산업이 전체 산업의 25%를 차지하였으나, 비중이 크게 늘어나는 현상

1990년대 초에는 8%로 낮아진 반면에 2·3차 산업의 비중이 커지는 변화를 가져왔 (%) 1차 산업
80 2차 산업
으며, 2000년대에 들어서는 탈공업화 현상이 나타났다. 60 3차 산업
40
(2) 산업의 분류 방식 20
0
1970 1980 1990 2000 2011(년)
산업을 분류하는 방식에는 경제학자에 따른 분류와 국제 표준 산업 분류 등이 있 <출처: 통계청>
는데, 우리나라에서는 한국 표준 산업 분류를 사용하고 있다.

1 클라크의 산업 분류
클라크(Clark, C. G.,1905~1989)
영국의 경제학자 클라크는 경제의 발달 단계에 따라 산업의 구조를 제1차 산업, 제 「경제적 진보의 제 조건」, 「국민 소
득」 등 집필
2차 산업, 제3차 산업으로 분류하였다.





임업


농업 제1차 산업 수산업

농업, 축산업, 어업, 임업 등 자연에서
물자를 채취하거나 재배하는 산업


제2차 산업 제3차 산업

제조업, 광업, 건설업 등 운수업, 금융업, 방송,
제1차 산업의 산출물을 통신, 서비스업 등 운수업
제조업
가공하여 필요한 제1ㆍ2차 산업에서
물자를 만드는 산업 생산된 물자를 유통,
판매, 서비스
하는 산업
서비스업
광업






[그림 Ⅰ-3] 클라크의 산업 분류

1. 산업 구조와 공업의 발달 15






공업일반_1단원 김영수 0426.indd 15 2017-08-30 오전 11:29:3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