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6 고등학교 공업 일반 교과서
P. 46
8 건설 공업
건설 공업은 자연물이나 원료를 이용하여 인간이 보다 편리한 생활을 할 수 있도 인터넷
•국토교통부
록 건물이나 그 밖의 시설물을 만드는 산업으로, 건축 공업과 토목 공업으로 구분할 http://www.molit.go.kr
수 있다. 건설 공업은 토목과 건축에 관한 공사를 하는 복합적인 종합 산업으로, 주 •한국건설기술연구원
http://www.kict.re.kr
문 생산 위주의 산업인 동시에 장소를 이동하며 이루어지는 이동 산업이기도 하다.
또한 건설 공업은 공공성과 공익성이 강조되는 산업이며, 관련 산업의 경기 활성화
나 고용 증대 및 경제 발전에 미치는 파급 효과가 크다.
(1) 건축 공업
우리나라의 건설 공업은 동남아시아와 중동 지역 등지의 해외 진출
을 계기로 발전해 왔으며 세계적으로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다. 우리나
라의 건설 공업은 새로운 공법을 사용하여 초고층 건물과 최첨단 건물
을 짓고 있는데 특히 환경 친화적·인체 공학적 구조물의 설계 부문에
서 괄목할만한 발전을 이루고 있다. 또한 정보 통신 기술과 생명 공학
기술 등이 융합된 건축물도 선보이고 있다.
(2) 토목 공업
토목 공업은 수리, 물리, 화학 등 자연 과학을 이용한 모든 공학의 근
간을 이루는 산업으로, 도로, 교량, 고층 구조물, 터널, 철도 및 지하철,
공항, 항만 및 해양 시설, 댐, 운하, 수력 발전소, 조력 발전소, 원자력
발전소 및 플랜트 설비 등 각종 사회 기반 시설물의 계획, 설계, 해석,
시공, 유지 관리, 운용 및 철거, 그리고 인간 생명의 근원인 상하수도,
수로, 하천 등의 수자원 및 교통, 도시 계획 등 국토 건설, 산업 입지 조
[그림 Ⅰ-36] 초고층 건축물
성 등 그 분야가 넓고 다른 공업 분야와 밀접한 공업이다.
우리나라의 토목 기술은 산업화 과정에서 도로, 항만, 댐 등을 건설
하면서 기술 수준이 크게 향상되었고, 대규모 간척 사업과 수자원 개발
사업, 개간 사업을 통하여 국토 개발에 크게 기여하였다.
철도 공사 울산 항만 공사 인천대교 공사
[그림 Ⅰ-37] 토목 공사 현장
44 I. 산업 사회와 공업의 개요
공업일반_1단원 김영수 0426.indd 44 2017-08-30 오전 11:3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