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79 고등학교 공업 일반 교과서
P. 79
중단원 정리하기
제품의 의미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하기 위하여 적절한 원료를 사용하여 고유한 형태로 만들어 낸 물품
제품의 분류
① 제품의 내구성에 따른 분류: 내구재, 비내구재
② 사용 목적에 따른 분류: 소비재, 생산재
제품의 제조 과정
① 일반적인 제조 과정: 제품 개발 → 설비 및 재료 준비 → 가공 및 조립 → 제품 검사 → 제품 포장 및 출하
② 개발 측면에서 본 제조 과정: 제품 개발 단계 → 제품 제조 → 제품 판매
제품 생산 방식과 생산 체제
① 제품 생산 방식: 계획 생산, 주문 생산 등
② 제품의 생산 체제: 수요 형태, 생산 장소, 부품의 형태와 공정의 흐름, 제품의 종류와 생산량 등에 따른 생산 체제
탐구
직업 컬러리스트
주요 업무 ① 색채와 관련된 자료를 수집·분석하여 물건과 환경의 여러
가지 용도에 맞는 색채를 기획, 적용한다.
② 색상에 관한 각종 정보를 수집 분석하고 소비자 선호 조사 등을
통해 유행하는 색의 경향을 파악한다.
③ 색채 규정을 검토·적용하여 제품의 색상을 기획하고 전체적인
색깔의 방향, 상품의 배색, 프린트, 패턴 채색을 결정한다.
④ 브랜드 이미지에 기초하여 소재 및 디테일 등의 경향에 맞추어
색상을 선정한다.
컬러리스트 국가 기술 자격 실기 시험
모의고사 장면
① 미적 감각과 창의성, 섬세함이 요구된다.
필요 역량
② 색상을 예측하고 정보를 수집하여 브랜드에 맞게 색채를 조정할 수 있는 능력이 있어야 한다.
③ 직무 관련 팀원이나 제품 의뢰인과의 원활한 인간 관계를 형성할 수 있어야 한다.
④ 사설 교육 기간이나 직업 전문 학교에서 관련 교육을 이수하거나 전문 대학, 4년제 대학에서 관련 학과를
전공한다.
⑤ 국가에서 시행하는 컬러리스트 자격증을 취득한다.
관련 자격 컬러리스트 산업 기사, 컬러리스트 기사
진출하는 곳 컬러 디자이너, 컬러 코디네이터, 조색사, 색채 교육사 등
<출처: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커리어넷 직업 정보>
1. 제품과 제조 과정 77
공업일반_2단원 김영수 0426.indd 77 2017-08-30 오후 1:37: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