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69 고등학교 회계 정보 처리 시스템 교과서
P. 69
표 Ⅱ-1 유동자산의 분류
회계 TIP
구분 종류
K-IFRS에서는 금융 자산을 상각
현금 및 현금성 자산 (현금, 당좌예금, 보통 예금, 현금성 자산) 후 원가 측정 금융 자산(단기 매매
금융 자산), 기타 포괄 손익 - 공
당좌자산 단기 금융 자산 (단기 대여금, 단기 예금, 단기 매매 금융 자산) 정 가치 측정 금융 자산(매도 가능
금융 자산), 당기 손익 - 공정 가
매출 채권 (외상 매출금, 받을어음), 미수금, 선급금, 가지급금, 선급비용
치 측정 금융 자산(만기 보유 금융
재고자산 상품, 제품, 반제품, 재공품, 원재료, 저장품 등 자산)으로 분류한다.
현금, 당좌예금, 보통 예금, 현금성 자산은 재무 상태표에 현금 및 현금성 자산
계정으로 통합 표시되며, 단기 대여금, 단기 예금, 단기 매매 금융 자산은 단기 금융
자산으로, 외상 매출금, 받을어음은 매출 채권으로 통합하여 표시한다.
비유동 자산
비유동 자산은 보고 기간 종료일로부터 1년 이내에 현금화할 수 없는 자산으로
회계 TIP
투자자산, 유형 자산, 무형 자산, 기타 비유동 자산으로 분류한다. 일반 기업 회계 기준의 매도 가능
증권, 만기 보유 증권은 한국 채택
표 Ⅱ-2 비유동 자산의 분류 국제 회계 기준에서는 매도 가능
금융 자산, 만기 보유 금융 자산이
구분 종류 라 표시한다.
투자자산 투자부동산, 장기 대여금, 장기 예금, 매도 가능 금융 자산, 만기 보유 금융 자산 등 통합 표시 계정 과목
• 매도 가능 금융 자산, 만기 보유
유형 자산 토지, 건물, 비품, 기계 장치, 차량 운반구, 건설 중인 자산 등
금융 자산/장기 투자 증권, 특허
산업 재산권, 컴퓨터 소프트웨어, 저작권, 영업권, 광업권, 어업권, 개발비, 임차 권, 실용신안권, 디자인권, 상표
무형 자산 권 등은 산업 재산권으로 통합
권리금, 라이선스, 프랜차이즈 등
표시한다.
기타 비유동 자산 장기 매출 채권, 장기 미수금, 전세권, 임차 보증금, 영업 보증금 등 • 질적 특성, 중요성에 따라 통합
표시할 수 있다.
한국 채택 국제 회계 기준 (Korean 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
국제 회계 기준에 맞춰 2007년 말 제정된 새로운 회계 기준이며, 2011년부터는 모든
상장 기업이 의무적으로 K-IFRS를 적용해 왔다.
① 개별 재무제표만 공시했던 기존과 달리 연결 재무제표 공시가 의무화되었다.
② 투자부동산, 유형 자산, 금융 부채 등 객관적 평가가 어려운 항목은 취득원가가
아닌 공정 가치 기준으로 평가 방식이 변경되었다.
③ 재무제표 구성 항목이 바뀌어 대차 대조표는 재무 상태표로, 손익계산서는 기타
포괄 손익을 포함하는 포괄 손익계산서로 변경되고, 이익 잉여금 처분 계산서는 삭제되었다.
④ 대손충당금은 예상되는 손실이 아닌 실제 발생 손실에 근거해 충당금을 적립하도록 되었다.
K-IFRS의 시행은 연결 대상 회사의 재무 상태와 영업 실적 등을 모두 반영할 수 있어, 투자자에게 정확한 재무
정보를 제공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한국 채택 국제 회계 기준
1. 자산의 회계 정보 처리 67
회계정보-3차제출본.indb 67 2017-09-06 오후 5:38: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