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23 고등학교 정보통신 교과서
P. 123









(3) 토큰 패싱 방식

토큰 패싱 방식은 각 단말이 순서대로 통신하는 방식으로 네트워크를 링 형태로 MAU(Multistation Access Unit)
토큰 링 네트워크의 모든 엔드 스테
한 토큰 링 방식과 네트워크를 버스 형태로 한 토큰 버스 방식이 있다. 이션이 연결되는 배선 집중 장치

① 토큰 링 방식 토큰(Token)
토큰링 네트워크를 따라 돌아다니
토큰 링 방식은 논리적으로는 링 형태이지만 물리적으로는 모든 노드를 MAU라는 는 일련의 특별한 비트열이다. 컴퓨
터들은 네트워크를 따라 순환하는
장치에 연결함으로써 하나의 토큰 링 네트워크를 이룬다. 전송 매체로는 동축 케이 토큰을 자신이 잡았을 때만 네트워
크에 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 각 네
블, 광섬유 케이블 등이 사용되며 전송 속도는 4~16[Mbps] 정도이다. 토큰은 미리
트워크에는 오직 단 한 개의 토큰만
결정된 비트들로서 노드가 채널을 사용할 수 있게 해주며 항상 토큰이 있어야만 데 이 존재함으로써, 두 개 이상의 컴
퓨터가 동시에 메시지를 전송할 가
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 능성을 사전에 차단함.


A A 토큰 링의 


free token MAU
B D B D
free token
busy token
② B가 free token을 잡았으므로
① free token을 token 사용 중을 표시하는
C 잡지 않으면 C busy token 으로 바꾸고,
송신할 수 없다. 송신처 B, 수신체 D로 하여 하나의 MAU를 사용
데이터를 붙여 전송한다.
A A in out
out in
MAU MAU
D가 받았다는 MAU MAU
B busy token D B 표시를 붙인다. D in in out
free token out
③ D는 자기 앞의 패킷을 잡 ④ 송신처 B는 수신처 D로부터
C 아 패킷의 데이터를 복사 C 돌아온 패킷을 받아 free token
하고, 수령인 사인을 붙여 을 생성하여 순회시킨다. 각기 서로 연결된 여러 개의 MAU
B에게 패킷을 보낸다. 를 사용
그림 Ⅲ-3 토큰 링 방식에 의한 데이터 송신 원리



② 토큰 버스 방식
토큰 버스 방식은 토큰 링 방식과 CSMA/CD 방식을 결합한 형태로 IEEE802.4 위원

회에서 표준으로 채택하였다. 물리적으로는 버스 형으로 구성되고 실제적인 동작은
링 형으로 이루어진다.



B A F
토큰 버스



C D E G

그림 Ⅲ-4 토큰 버스 방식에 의한 데이터 전송 원리

1. LAN 기술 121






정보통신 3차제출본.indb 121 2017-09-06 오후 4:24:21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