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32 고등학교 정보통신 교과서
P. 232









2 암호의 종류와 방식


시저 암호 기원 전에는 단순히 메시지에 있는 문자의 위치를 바꾸는 스키테일 암호와 문자를
로마의 줄리어스 시저(BC 100 일정한 문자 수만큼 평행이동시킨 시저 암호를 사용하였다.
~BC 44)가 사용한 암호로 알파벳
을 3문자씩 이동시킨 것 현대의 암호는 대칭 키 암호화 방식과 1976년 공개 키 암호화 기법의 등장으로 사
용된 비대칭 키 암호화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1) 대칭 키 암호화 방식

비즈네르 암호 송신자와 수신자 사이의 암호화와 복호화 과정에서 공통된 키를 사용하는 방식으
• 다표식 환자 암호로 1586년 프랑
스 외교관 비즈네르(Vigene‵re) 로 공통 키 암호 또는 비밀 키 암호라고 부른다.
에 의해 고안됨. 대칭 키 암호화 방식은 기원 전 시저 암호에서 근대 암호인 비즈네르 암호, 제2차
• 모든 문자의 출현 빈도를 고르게
하여 빈도 분석에 의한 암호 해독 세계 대전에서 독일군이 사용한 에니그마에 이르기까지 공개 키 암호화 기법이 등장
이 불가능함.
하기 전에 사용되던 유일한 암호화 기법이다.
에니그마
에니그마는 ‘수수께끼’라는 뜻으로
1차 세계 대전 이후 독일의 엔지니
어인 아르투르 세르비우스(Arthur
Scherbius)가 발명한 암호 작성기 같은 비밀 키 공유




암호 암호
알고리즘 알고리즘
설계 도면
설계 도면 암호화 복호화
암호문
전송

암호문 암호문



그림 Ⅴ-7 대칭 키 암호화 방식

대칭 키 암호화 방식에서는 공통된 키를 사용하므로 제3자에게는 비밀로 전달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키를 가진 제3자가 암호문을 복호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암호화 기술의 보안 정도는 키의 비트 수에 의해 결정된다. 1977년에 미 연방 표준

으로 채택된 대칭 키 암호 방식인 DES(Data Encryption Standard)는 64비트의 평문을
56비트 비밀 키를 이용하여 암호문으로 만들 수 있는 블록 암호 방식으로, 현재 전
세계적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56비트라는 짧은 키 길이로 인해 더 이상 안전하지 않으며, 대안으로 DES
를 3번 반복하는 Triple DES를 사용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또한 차세대 미국 표준으로 AES 암호화 방식이 확정됨에 따라 그 사용 범위가 줄

어들 것으로 보인다.


230 Ⅴ. 정보 보안





정보통신 3차제출본.indb 230 2017-09-06 오후 5:01:53
   227   228   229   230   231   232   233   234   235   236   2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