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5 고등학교 정보통신 교과서
P. 5









머리말






정보 통신 기술의 급속한 발달은 사회 전반에 걸친 혁신적 변화를 초래하였으며, 21세기 지식
정보화 시대는 현실 사회와 가상 현실의 정보 소통과 공유 속에서 새로운 정보 기술을 창출하

는 시대가 되었다. 이러한 정보 기술 혁명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는 다양한 정보를 수집・분석하
고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여야 한다.


본 교과서에서 추구하는 ‘정보 통신’ 과목의 교육 목표는 다음과 같다.
‘정보 통신’은 이론과 실습을 통합한 교과로서, ‘통신 일반’, ‘통신 시스템’ 과목에서 학습하는

내용과 연계하여 정보 통신에 관한 지식과 기능을 습득하고 전공 분야에 활용할 수 있는 실무
능력 향상을 교육 목표로 한다.


이 교과서는 특성화 고등학교에서 배워야 할 이론과 실습을 통합한 교과의 특성을 감안하여
총 5개 단원을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 ‘정보 통신의 기초’ 단원에서는 정보 통신의 발달 과정과 통신 프로토콜 및 OSI 참조 모델의
개념 및 정보 통신망의 종류와 형태 등을 학습하여, 기술 능력과 정보 능력 및 문제 해결 능력
등의 직업 기초 능력을 함양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 ‘인터넷 통신’ 단원에서는 인터넷의 정의, 구성 요소, 접속 방법과 인터넷 통신을 위한 인터넷
주소, 프로토콜, 응용 서비스 등에 대하여 학습하여, 인터넷의 활용과 서버 구축, 파일 전송 등
과 관련된 실무를 경험하고 정보 통신 기술 활용 능력을 함양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 ‘네트워크 구축’ 단원에서는 정보 통신 네트워크 기술의 핵심인 LAN의 개념과 구축 및 운영 방
법 등을 학습하여, 자원 관리 능력, 문제 해결 능력, 정보 능력, 기술 능력의 역량을 키울 수 있

도록 구성하였다.
• ‘정보 통신의 응용’ 단원에서는 멀티미디어의 정의와 다양한 매체를 살펴보고, 대용량 정보를
압축하는 원리와 기법, 멀티미디어의 다양한 응용 서비스 등을 학습하여, 정보 통신 기술 활용

능력을 함양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 ‘정보 보안’ 단원에서는 정보 보호와 암호, 해킹과 악성 코드, 방화벽을 학습하여, 정보 보안과
관련된 실무를 경험하고 문제 해결 능력, 정보 능력, 기술 능력을 키울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고도의 기술 혁명이 진행 중인 이 시대에 이 교과서가 정보 통신에 대한 기초 지식의 이해와
기술을 습득하는 실마리가 되었으면 한다. 또한 실제로 정보 통신 시스템을 운용할 수 있는 능

력을 배양하여 정보화 시대에 부응하는 유능한 인재로 활동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희망한다.

저자 일동











정보통신 3차제출본.indb 3 2017-09-06 오후 4:22:13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