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19 고등학교 프로그래밍 교과서
P. 219










2 아두이노의 사용법에 대해 알아보자
아두이노를 실행하면 [그림 Ⅲ-18]과 같이 초기 화면이 출력된다. 이때 시리얼 모

니터를 이용하면 프로그램에 사용된 변수의 값이나 중간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시리얼 모니터
시리얼 모니터 창을 띄우면 프로그
램에 사용된 변수의 값이나 중간 결
과를 출력할 수 있으므로 디버깅 작
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1
2



3




아두이노 환경 설정
[파일]-[환경 설정] 메뉴를 실행하
면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경로, 편집
화면의 폰트 크기, 줄 번호 등을 설
정할 수 있다.










[그림Ⅲ- 18] 아두이노 초기 화면


❶ 툴바: 자주 사용하는 작업을 아이콘으로 표시한 것으로, 왼쪽부터 [컴파일(확인)], 프로그램의 구조
아두이노 프로그램은 main( ) 함수
[업로드], [새파일], [열기], [저장]을 의미한다.
가 없는 구조이다. 아두이노 프로그
❷ setup ( ): 프로그램 실행 시 처음 한 번만 실행되는 코드 블록으로, 통신 설정, 입 램을 실행하면 곧바로 setup( ) 함
수와 loop( ) 함수가 실행된다.
출력 포드 설정, 매크로 선언 등에 필요한 코드를 작성한다.
❸ loop ( ): 같은 동작을 반복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코드 블록으로, 이곳에 작성된

프로그램은 무한 반복된다.


알아보기 아두이노 기본 명령어

• pinMode(port, mode): 지정한 port의 입출력 동작 모드(INPUT, OUTPUT)를 설정한다.
• digitalWrite(port, value): 지정한 port에 디지털 값(HIGH, LOW)을 출력한다.
• digitalRead(port): 지정한 port로부터 디지털 값을 읽어 들인다.
• analogRead(port): 지정한 port로부터 아날로그 값을 읽어 들인다.

• analogWrite(port, value): 지정한 port에 아날로그 값에 비례하는 PWM 데이터를 출력한다.
• delay(ms): 지정한 시간(밀리초)만큼 프로그램을 지연시킨다.


2. 프로그래밍의 실제 Ⅰ 217






(책)2015프로그래밍-교과서3차심의본 본문.indb 217 2017-09-05 오후 4:16:55
   214   215   216   217   218   219   220   221   222   223   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