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9 고등학교 프로그래밍 교과서
P. 39
3 알고리즘 구현
① 순차형 알고리즘: 가장 단순한 형태로, 위에서 아래의 순서대로 작업을 진행하는
구조이다.
순차형 알고리즘은
자연어 순서도
순서도를 작성하기 쉽고
[입력] 두 수를 입력한다. 시작 이해하기도 쉬워요.
입력
[출력] 합과 평균을 출력한다. A, B
[알고리즘] 1. 두 수 A, B를 입력한다. S=A+B
T=S/2
2. 합을 계산한다.(S=A+B)
3. 평균을 계산한다.(T=S/2) 출력
S, T
4. 합(S)과 평균(T)을 출력한다.
5. 프로그램을 종료한다. 끝
② 선택형(조건형) 알고리즘: 주어진 조건의 만족 여부에 따라 실행 내용이나 순서를
다르게 처리할 때 사용한다.
자연어 순서도
시작
[입력] 두 수를 입력한다.
입력
[출력] 작은 수를 출력한다. A, B
아니요
A>=B
[알고리즘] 1. 두 수 A, B를 입력받는다.
예
2. 입력된 두 수 A, B를 비교하여 A>=B이면 B
MIN = B MIN = A
를 작은 수(MIN)로 하고 아니면 A를 작은 수
로 한다. 출력
3. 작은 수(MIN)를 출력한다. MIN
4. 프로그램을 종료한다.
끝
③ 반복형 알고리즘: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동안 일정한 내용을 반복하여 실행하다가
조건이 만족되지 않을 때 반복을 중단한다.
자연어 순서도
[출력] 1부터 100까지 정수의 합을 출력한다. 시작
s = 0, n = 0
[알고리즘] 1. 1, 2, 3, …, 100으로 증가하는 값을 저장할
기억 장소 n과 합을 저장할 기억 장소 이름을
n = n+1
s로 하고 n, s를 0으로 초기화한다.
2. 현재 n값에 1을 더하여 다시 n값에 저장한다. s = s+n
3. 현재 s값에 n을 더하여 다시 s값에 저장
예
한다.(s에 1~n까지 누적) n<100
4. n이 100이 될 때까지 2, 3을 반복한다. 아니요
s
5. n이 100이면 s를 출력한다.
6. 프로그램을 종료한다. 끝
3. 알고리즘 37
(책)2015프로그래밍-교과서3차심의본 본문.indb 37 2017-09-05 오후 4:15: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