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6 고등학교 프로그래밍 교과서
P. 46
② 컴파일 단계(Compile)
컴파일 소스 파일이 작성되면 이 소스 파일을 컴파일(Compile)해야 한다. 컴파일을 자동
작성된 소스 코드를 컴퓨터가 실행
할 수 있는 기계어 형태의 명령어들 으로 해 주는 프로그램을 컴파일러라고 하며, 컴파일러는 소스 파일을 분석하여 특정
로 바꾸어 준다. 컴파일러가 해석할 한 컴퓨터에서 수행이 가능하도록 기계어로 변환한다.
수 없는 오류가 발생하면 이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여 프로그래머가 해 컴파일러는 소스 파일의 문장을 분석하여 문법에 맞도록 작성되었는지를 확인하
결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여기서 발
생하는 오류를 문법적 오류라 한다. 고, 오류가 있다면 사용자에게 통보하고 컴파일을 종료한다. 만약 오류가 발견되면
다시 편집 단계로 돌아가서 소스 파일을 수정해야 한다.
③ 링크 단계(Link)
링크(Link)란 서로 연관된 오브젝트 파일들을 라이브러리 파일들과 연결하여 하나
의 실행 파일(Executable File)을 만드는 절차이다.
이와 같이 컴파일과 링크의 두 단계로 분리시켜 실행 파일을 만드는 이유는 여러
개의 파일로 구성된 프로그램에서 변경되지 않은 소스 파일을 다시 컴파일하지 않기
위해서이다.
2 통합 개발 환경(IDE)의 필요성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소스 코드를 입력하고 편집하는 편집 프로그램, 번
Q & A 역 프로그램, 오류 수정 프로그램 등을 따로 사용하면 개발 시간도 길어지고 오류도
자주 발생하는 등 불편함이 많다. 따라서 이러한 작업을 하나의 프로그램 안에서 처
오류를 쉽게 수정해 주는 프로그
램은 없을까요?
리하는 환경을 선호하면서 통합 개발 환경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디버거라는 프로그램이 있다. 이
프로그램은 작성된 코드를 단계적으 통합 개발 환경(IDE; Inte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이란 프로그램 개발을 위
로 제어하면서 실행할 수 있도록 하
여 자료의 변화를 추적하는 기능을 해 에디터, 컴파일러, 링커, 디버깅 등의 기능을 메뉴화하여 일련의 작업을 하나의 프
제공하여 오류를 쉽게 찾아낼 수 있
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로그램 안에서 처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소프트웨어를 말한다.
에디터 컴파일러 링커 로더
오브
소스 실행
젝트
파일 파일
파일
[그림Ⅰ- 10] 통합 개발 환경
통합 개발 환경을 사용하면 소스 파일 작성, 컴파일, 링크, 실행 및 디버깅이 하나
의 프로그램 화면에서 처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 좀 더 쉽게 프로그램을 개발
할 수 있다.
44 Ⅰ . 프로그래밍의 개요
(책)2015프로그래밍-교과서3차심의본 본문.indb 44 2017-09-05 오후 4:15: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