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78 고등학교 프로그래밍 교과서
P. 78










3 printf( )
printf( ) 함수는 데이터를 형식 문자열(format)에 지정되어 있는 형태로 출력한다.

형식 문자열 다음에는 출력할 데이터들을 순서대로 나열하면 된다.

형식
printf("형식 문자열", 인수1, 인수2, ...);

형식 문자열에 의해 출력할 인수1, 인수2, ……, 인수n의 값을 어떤 형식으로 나타
낼 것인지 지정할 수 있다.


printf("%s", "o.k.!") %s에 의해 문자열 o.k.!를 출력함.

형식 문자열

① 형식 문자

입출력할 자료의 형태의 따라 다음과 같이 정해진 형식 문자열 중 하나를 사용한다.

[표Ⅱ- 3] 형식 문자
문자 설명 문자 설명
d 부호 있는 10진수 정수 c 문자 1개
u 부호 없는 10진수 정수 s 문자열
f 소수점이 있는 실수형 e, E 지수형 표기

o 8진수형 p 포인터
16진수형
x , X % %출력
소문자 a~f, X는 대문자 A~F

예제 printf( ) 함수의 서식 문자를 이용하여 출력되는 프로그램을 작성해 보자.


프로그램

01 #include
02 int main( )
03 {
04 int i = 1; 제어 문자 '\n'은 줄을 바꾸라는 의미
05 printf("hello\n");
서식 문자로 d가 사용되었기 때문에
06 printf("%d", i);
정수형 변수 i의 값 1을 출력함.
07 return 0;
08 }


실행 결과

hello
1



76 Ⅱ. C 프로그래밍의 기초





(책)2015프로그래밍-교과서3차심의본 본문.indb 76 2017-09-05 오후 4:16:05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