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 고등학교 기계 제도 브로슈어
P. 4
기계 제도
3. 교과서 구성 체재와 활용 방법
대단원 열기
Ⅱ 기계요소 그리기
1. 결합용 기계요소 그리기
2. 축용 기계요소 그리기
3. 전동용 기계요소 그리기
4. 그 밖의 기계요소 그리기
5. 동력 전달 장치 그리기
기계를 구성하는 부품에는
작은 나사, 축, 기어, 캠 등이 있다.
사진은 이러한 기계요소들이 모두
모여서 작동하는 동력 전달 장치이다.
이러한 동력 전달 장치를 도면에 나타
내려면 여러 가지 부품들을 어떻게
나열해야 할까?
단원의 특징을 나타내는 사진과 단원 개관
단원 개관
우리 생활은 수많은 기계들 덕분에 매우 편리해졌다. 기계요소는 나사처럼 매우 간단한 것도
있고, 기어 장치처럼 매우 복잡한 것도 있다. 기계를 구성하고 있는 부품 중에서 대부분의 기 을 통해 단원 학습 내용을 유추하고 학습
계에 공통적으로 들어 있는 부품을 기계요소라고 한다. 기계요소는 용도에 따라 결합용, 축용,
전동용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 단원에서는 여러 가지 기계요소의 용도와 제도 방법을 알아보고, 여러 가지
동기를 유발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기계요소가 포함되어 있는 동력 전달 장치는 어떻게 그릴 수 있는지 알아보자.
(2015)기계제도__3차_작업용.indb 136 2017-07-24 오전 8:49:54 (2015)기계제도__3차_작업용.indb 137 2017-07-24 오전 8:50:04
중단원 열기 본문
1 결합용 기계요소 그리기 불완전 나사부는 외형선 (2) 볼트와 너트 그리기
과 30° 각도로 가는 실선
으로 작도한다. 볼트와 너트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도면을 작성한다.
유효 나사부
학습 목표 불완전 나사부 완전 나사부 불완전 나사부
30° 30°
•결합용 기계요소의 종류와 용도를 설명할 수 있다. 안지름 선의 오른쪽 위
1/4을 생략한다.
•나사, 볼트, 너트, 키, 핀, 코터에 관한 KS 규격을 찾을 수 있다. 30° 45° M16
•나사, 볼트, 너트, 키, 핀, 코터를 KS 규격에 따라 제도할 수 있다. 27.7 M16 27.7 M16
안지름 바깥지름 24 8.6 17 (38)
10 55 24 14.8
수나사의 안지름을
수나사의 완전 나사부와 수나사의 바깥지름을 표시하는 선: 가는 실선
표시하는선: 굵은 실선
불완전 나사부의 그림 Ⅱ-11 볼트와 너트 그리기
경계선: 굵은 실선
생각의 창 결합용 기계요소의 특징은 무엇이고, 도면에 어떻게 나타내야 할까? 그림 Ⅱ-4 수나사의 구조와 그리는 방법 ① 육각 볼트 머리 및 너트의 간략도에 의하여 도면을 그린다.
② 현재 볼트가 M16이므로 표 Ⅱ-5 볼트 규격집 KS B 1002에서 미터나사 육각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사용하고 있는 기계들은 여러 가지 기계요소들로 구성되어 있다. 같 (2) 암나사 그리기 볼트의 머리 규격을 찾는다.
은 기계요소라도 사용 목적에 따라 다른 기계와 조립하여 다른 용도로 사용하고 있는 경우 암나사에 사용되는 선의 종류와 굵기 및 그리는 방법은 그림 Ⅱ-5와 같다. 안지름 ③ 육각 너트의 외형을 그린다. 기준이 되는 원의 지름은 표 Ⅱ-5 볼트 규격집 KS
가 많다. 은 굵은 실선, 골지름은 가는 실선, 관통된 구멍의 암나사의 경우 해칭을 골지름까지
우리 주변에서 볼 수 있는 결합용 기계요소에는 어떤 것이 있고, 도면에 그릴 때에는 어떻 B 1002에서 B=24mm, C=27.7mm로 하고 선의 종류는 굵은 실선으로 한다.
게 그려야 할까? 한다. 관통되지 않은 암나사의 드릴날 선단부의 각도가 120°가 되게 제도하고 드릴 ④ 볼트의 머리 높이 H=10mm인 볼트의 머리 모양을 만든다.
구멍의 나사부까지 충분한 여유를 둔다.
⑤ 중심점에 반지름이 R=24mm인 원을 그린다. R값은 1 d이므로 24mm로 한다.
⑥ 13mm로 나사의 골지름을 그린다. - 볼트 약도법 참조
⑦ 불완전 나사부를 그린다. 불완전 나사부의 각도는 30°로 한다.
암나사의 안지름 선
표시: 굵은 실선 ⑧ 너트는 동일한 방법으로 KS 규격을 이용하여 그린다. 볼트의 머리와 마찬가지
로 너트의 머리 부분을 그린다 (높이 H=14.8mm).
암나사의 안지름 선
암나사의 바깥지름 선의 오 표시: 굵은 실선 표 Ⅱ-5 볼트 규격집 KS B 1002 (단위: mm)
른쪽 위 1/4을 생략하고 표 KS B 1002
시하는 선은 가는 실선으로 호칭 지름 H
그린다.
불완전 나사부
호칭 지름
완전 나사부 드릴 구멍의 깊이 B R S
30° C d 1
불완전 나사부 자리로 H 30° L B S
나사부의 골 표시는 볼트 직경 및 피치 d 1 C R
가는 실선으로, 각도는 불완전 나사부 125 <
30°로 그린다. 120° 기 공차 기 공차 기 공차 L ≤ L >
보이지 않는 암나사의 준 준 준 125 L ≤ 200
골지름과 바깥지름 선 드릴날 선단부의 각도는 보통 나사 가는 나사 상 중 하 상 중 하 상 중 하 약 최소 200
은 숨은선으로 그린다. 118°이나 제도 시 일반적
으로 120°, 굵은 실선으 M12×1.75 M12×1.25 12 8 19 21.9 0.6 30 36 -
로 그린다.
M14×2 (M14×1.5) 14 0 0 + 0.9 9 22 0 0 0 25.4 0.6 34 40 -
±0.2 ±0.3 ±0.8
M16×2 M16×1.5 16 - 0.2 - 0.25 - 0.2 10 24 - 0.35 - 0.8 - 0.8 27.7 0.6 38 44 -
▲ 결합용 기계요소 (a) 관통된 암나사 (b) 관통되지 않은 암나사 (c) 수나사와 암나사의 결합
(M18×2.5) (M18×1.5) 18 12 27 31.2 0.6 42 48 -
그림 Ⅱ-5 암나사의 구조와 그리는 방법
138 Ⅱ . 기계요소 그리기 144 Ⅱ . 기계요소 그리기 1. 결합용 기계요소 그리기 149
중단원별로 흥미로운 학습 동기 유발 도면 과제 해설 및 그리는 순서를 단계별로 상세히 제시하고
2017-07-24 오전 8:50:14
2017-07-24 오전 8:50:09
(2015)기계제도__3차_작업용.indb 138
2017-07-24 오전 8:50:11 (2015)기계제도__3차_작업용.indb 149
(2015)기계제도__3차_작업용.indb 144
자료를 제시하여 쉽고 재미있는 학습이 KS 규격집을 표로 정리하여 학습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이루어지도록 하였습니다. 하였습니다.
4. 집필진 소개
윤재병
기계 분야의 기초 과목으로서 기본 도면의 대표 저자
(현) 수원공업고등학교 교사
정확한 제도와 이해, 나아가 컴퓨터를 활용하여
제도할 수 있는 능력을 목표로 교과서를 개발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