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89 중학교 기술가정① 지도서
P. 289








2차시



2 건설 기술의 발달 과정 다음의 두 건설 구조물을 비교하여 건설 재료와 구조의 특징을 써 보자. 적용하기
↳ 고대의 건설 기술
↳ 중세의 건설 기술 건설 구조물 ① 건설 재료와 구조의 특징 건설 구조물 ② 건설 재료와 구조의 특징
길잡이 건설 기술은 시대별로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을까?
↳ 근대의 건설 기술
↳ 현대의 건설 기술
원시 시대부터 인간은 나뭇가지와 나뭇잎 등으로 움집을 만들어 생활하였으며,
부재
구조물의 뼈대를 이루는 데 중요한 이후 더 안전하고 편리한 생활을 위해 건설 기술을 꾸준히 발달시켜 왔다. 건설 기
요소가 되는 여러 가지 재료. 술이 발달하면서 건설 구조물의 재료, 모양, 구조, 공법 등도 변화해 왔다.
건설 구조물에는 그것이 만들어졌던 시대의 건설 기술의 수준과 문화적 특징이
그림 8-6 건설 기술의 발달 과정 잘 나타나 있다.
건설 기술의
발달 고대 중세 근대 현대
고대의 건설 기술 중세의 건설 기술 근대의 건설 기술 현대의 건설 기술
시대별 고대의 건설 기술은 정치적·종교적 권위를 나타내는 구조물이나 중세의 건설 기술은 종교적인 성향이 고대보다 강하게 나타났다. 근대의 건설 기술은 산업 혁명 이후 대규모의 인구를 도시에 수용할 수 있는 주거 현대의 건설 기술은 건설 재료와 건설 구조의 발달이 두드러지고, 건설 구조물이
건설 기술 외적의 침입을 막기 위한 성벽, 도로 등의 구조물을 축조하는 데 이 서양에서는 기독교의 영향을 받은 고딕 양식, 로마네스크 양식 등 공간, 산업 생산 시설, 도로, 철도, 항만 등을 건설하는 데 이용되었다. 건설 장비가 더욱 고층화·대형화되었다. 또한 컴퓨터와 기계의 발달로 기획에서 시공 및 관리
용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삼국 시대를 거치면서 불교의 영향으로 이 유행하였다. 우리나라에서는 고려 때 불교의 영향으로 사찰 건 기계화되었고, 새로운 건설 재료와 공법이 개발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철도, 상수 까지 자동화되었다.
사찰이나 궁궐과 같은 구조물이 발달하였다. 축이 발달하였으며, 조선 때에는 유교의 영향을 받았다. 도, 다리, 공공 건물 등이 건설되었다.
돌이나 벽돌을 쌓아 올려 만드는 조적식 구조와 가늘고 긴 목재나 목재와 석재를 이용한 가구식 구조나 조적식 구조가 많이 사용되 19세기 초에 시멘트가 발명되어, 모르타르나 콘크리트를 만드는 주재료로 사용되 고강도의 철, 유리가 만들어졌다. 다양한 형태의 시멘트가 개발되어 굳는 속도가
건설 재료와 석재를 이용하여 만드는 가구식 구조 등이 발달하였다. 었다. 기 시작하였다. 이와 함께 유리, 철강과 같은 새로운 건설 재료가 등장하여 철근 빨라지고, 극한 지역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제품도 등장하였다. 새로운 소재와 공법
구조의 특징 • 조적식 구조 I 벽돌을 쌓아 올려 구조체를 만드는 구조이다. • 로마네스크 건축 양식 I 반원의 아치와 기둥을 중시하였고, 창이 콘크리트 구조, 철골 구조 등이 발달하였다. 의 개발로 더욱더 튼튼하고 안전한 건설 구조물을 만들게 되었다.
• 가구식 구조 I 부재를 끼워 맞춰 구조체를 만드는 구조이다. 많지 않고 벽이 두꺼워 실내가 비교적 어두웠으며, 외관이 장중
한 느낌을 주었다.
• 고딕 건축 양식 I 로마네스크 양식보다 벽 두께가 얇아지고 채광을
위한 유리창이 많아졌으며, 외벽에는 높은 첨탑들이 첨가되었다.
대표적인
건설 구조물
피라미드 I 조적식 구조로, 고대 이집 파르테논 신전 I 조적식 구조로, 둥근 피사의 대성당 I 이탈리아의 로마네 슈파이어 대성당 I 로마네스크 양식 에펠탑 I 철골을 이용한 구조물이다. 홈 인슈어런스 빌딩 I 철골 구조로 지어진 건 부르즈 할리파 I 고강도 콘크리트를 사용한 바레인 세계 무역 센터 I 풍력 터빈을 설치하
트 왕들의 무덤이다. 기둥을 줄지어 세운 신전이다. 스크 양식의 건축물이다. 의 종교 건축물 중 최대 규모이다. 물이다. 초고층 건물이다. 여 친환경을 강조한 초고층 건물이다.

만리장성 I 조적식 구조로, 외부의 침 불국사 I 가구식 구조로, 유네스코 세 수덕사 대웅전 I 주심포 맞배 지붕 종묘 I 조선 시대의 왕실 사당으로 덕수궁 석조전 I 우리나라의 근대식 석조 건 경인선 I 우리나라 최초의 철도이다. 인천 대교 I 인천과 송도를 연결하는 사장교 인천 국제공항 I 스테인리스 스틸을 사용한
입을 막기 위해 축조한 성벽이다. 계 문화유산으로 등재된 사찰이다. 양식의 건축물이다. 장엄하며 신성한 건축물이다. 물이다. 구조의 다리이다.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국제공항이다.
8. 건설 기술의 세계
236 02. 건설 기술의 특징과 발달
237
236
237


토목 기술의 이용
소주제 ❷와 길잡이
토목 기술은 사람들의 생활 수준을 향상하고 편리하게 하며,
지도상의 유의점 | 건설 기술은 시대별로 어떠한 특징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하여
생각해 보고 발표하도록 한다. 이때 고대, 중세, 근대, 현대의 건설 기술을 대표하는 자연재해를 극복하여 안전한 삶을 영위할 수 있게 한다.
건설 구조물들을 통해 시대별 재료와 구조의 특징을 이해하도록 한다.
토목 공사는 대부분 그 규모가 크고, 여러 분야의 기술이 복합
적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오랜 생산 기간과 많은
자본이 소요되므로 경제성, 공익성 등을 충분히 검토해야 한다.


동·서양 건축 기술의 특징
서양의 건축 기술과 동양의 건축 기술은 각각 고유한 특징
을 지니고 있다. 서양의 건축 기술은 자연환경과의 조화를 강조
하기보다는 자연 재료인 돌을 가공하여 건축 구조물을 만든 반
면, 동양의 건축 기술은 자연환경과 조화를 이루는 형태의 건축
구조물을 만들었다.
동양에서는 주로 석재나 목재를 이용한 건축 구조물이 발달

하였는데, 특히 중국의 건축 구조물은 웅장한 규모를 자랑한다.
일본의 건축 구조물에는 주로 목재가 이용되었으며, 규모가 작
고 기후적 특성을 반영하여 통풍이 잘되도록 하였다. 우리나라 점검 포인트 | 자료 사진을 보고, 건설 구조물의 건설 재료와 구조의
특징에 대하여 써 보도록 지도한다.
의 건축 구조물은 자연 소재를 그대로 활용하여 제작하였고 주 예시
답안 건설 구조물 ① 건설 재료와 구조의 특징
변의 환경과 어울리는 구조를 이루었다.
•목재를 이용하였다.
목조 주택
•가구식 구조로 되어 있다.
건설 구조물 ② 건설 재료와 구조의 특징
•벽돌을 이용하였다.
벽돌조 주택
•조적식 구조로 되어 있다.

8. 건설 기술의 세계 02. 건설 기술의 특징과 발달
286 287





중등기술가정지도서-3차제출.indb 287 2017-07-28 오후 1:02:22
   284   285   286   287   288   289   290   291   292   293   2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