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5 고등학교 디자인 일반 교과서
P. 15
하나 더 알기
ӝמ functionalism
기능을 건축이나 디자인의 핵심 요
소로 생각하는 것. 기능주의의 기본
적인 전제는 ‘기능’과 ‘미’ 또는 ‘형
태’가 일치할 수 있다는 것인데, 건
축이나 공예에서 그 용도 및 목적에
적합한 디자인을 취한다면 그 조형
백합꽃, 자연의 아름다움 의 미는 스스로 갖추어진다는 사고
방식을 의미한다. 미국의 건축가 설
리번(Louis Sullivan)은 “형태는 기능
을 따른다.(Form follows function.)”
라고 하였다.
ݫ ݃ࢎ֢ܻ(梅田正則/1948~ /일본) ߔ উۅ
백합의 형태를 단순화하여 제작한 의자
예를 들어 디자인이란 자연의 아름다운 백합꽃을 관찰하고 인간의 생활 환경을
중심으로 하여 사용성과 심미성에 목적을 두고 의자라는 형태를 창조하는 것이다.
산업 혁명 이전까지는 필요한 형태의 물건을 수공예 방식으로 만들어서 사용하였
지만, 산업 혁명 이후에는 기술의 혁신과 더불어 기계가 발전함에 따라 기능적이면
서도 아름다운 제품이 대량 생산되었다.
이러한 흐름에 따라 현대의 디자인은 산업 혁명이 일어난 시점에서 출발하였다고
볼 수 있으며, 산업 혁명 이후부터 독립적이고 전문적인 분야로 자리매김하였다.
현재에 이르러서는 과학 기술의 발달과 다양한 생활 양식에 따라 디자인의 개념
이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목적에 맞게 형태를 창조하는 계획으로써의 디자인뿐
만 아니라 제품, 기술, 환경, 서비스를 소비자에게 판매하거나 그 가치를 높이는 개
념으로까지 확대되고 있다.
세계 최초로 대량 생산된 포드사의 T형 자동차 1인 컴퓨터 시대 사용자의 업무 동선에 맞게 L자형으로 구성한 인간 공학적 사무
자동차의 대량 생산 시스템을 갖추어 누구나 자동차를 타고 다닐 수 있는 시대 공간 디자인
를 이끈 헨리 포드는 자동차 한 대의 조립 시간을 750분에서 93분으로 단축하
였다.
1. 디자인의 의의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