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21 고등학교 디자인 일반 교과서
P. 221









2 비례


비례는 구성 요소의 크기, 길이, 넓이에 있어 부분과 전체, 또는 부분과 부분과의
크기의 관계를 뜻한다. 비례는 회화, 조각, 공예, 디자인, 건축 등 조형을 구성하는

모든 크기를 결정하며 상호 관계도 비례에 의하여 결정된다.
여러 비례 중에서 사람의 눈에 가장 아름답고 조화롭게 보이는 이상적 비례가 있는 하나 더 알기
금강 비례
데 이를 ‘황금비’라고 한다. 디자인, 건축, 회화에는 황금비를 의식적으로 사용한 예가
황금비보다 좀 더 실용적이면서 아
많다. 황금비는 1:1.618의 비례를 가지며, 비례의 미는 계속 발견되어 발전하고 있다. 름다운 비례로 금강산과 같이 아름
다운 비례라는 의미에서 금강 비례
이상적 비례는 시대에 따른 미의 기준에 의하여 변화하고 있으므로 새로운 기준 (1:1.4)라고 한다. 우리나라 역대 건
축물이나 문화재의 비율로 경복궁
에 맞는 비례미를 찾아서 형태에 창의적으로 적용해야 한다.
근정전은 금강 비례의 대표적 건축
비례는 절대적으로 수용하기보다는 시대와 장소, 환경에 따라 다양하고 탄력성 물이다.
있게 수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झ ࣕ টޖઑѐ - 비례는 기능과도
밀접한 관계를 가지며 자연 가운데 훌륭한
형태로 표현된다.



















ۨয়աܰب ׮࠼஖(Leonardo da Vinci/1452~1519/이탈리아) ݽաܻ੗ ೠҴ੄ ୊݃ - 우리 전통 건축만이 갖고 있는 독특한
(유화/77×53cm/1503~1505년 작/프랑스 파리) - 황금비(1:1.618)는 르 비례가 나타난다.
네상스 시대에 ‘신의 비례’로 여겨졌으며 가장 아름다운 비례로 디자인
분할에 적용된다.


2. 디자인의 원리 219
   216   217   218   219   220   221   222   223   224   225   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