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41 고등학교 디자인 일반 교과서
P. 241
1 재료의 디자인적 성격
디자인 제작에 사용되는 재료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을까?
제품 계획이 디자인의 시작이라면 재료의 사용은 디자인을 완성하는 마지막 단계 하나 더 알기
라고 할 수 있다. 재료의 구비 조건
• 구입하기 용이해야 한다.
디자인의 재료는 인류가 탄생하기 이전부터 존재해 왔고 새로운 재료가 꾸준히 (제품의 공급이 많은 것)
• 충분한 양이 확보되어야 한다.
개발되고 있다. 우리 환경은 재료로 둘러싸인 재료의 집합체라고 할 수 있다. (제품의 양이 많은 것)
재료는 물리적 특성과 함께 시공간적이며, 문화적 특성을 지니고 있다. 또한 재료 • 경제성이 있어야 한다.
(제품의 가격이 저렴한 것)
의 성질에 따라 각종 정보 전달 기능이 내포되어 있으며 재료의 외부 표면은 인간의 • 기술적 가공이 완전해야 한다.
(품질이 균일한 것)
감각 기관을 개발시키는 기능도 가지고 있다. • 물질, 에너지, 환경을 생각하는 재
료여야 한다.
경쟁력 있는 디자인을 수행하기 위하여서는 무엇보다도 재료와 디자인의 조화, 구
조와 가공, 그리고 재료가 갖는 실질적 의미를 파악하고 적절하게 적용하는 것이 중
요하다.
디자인 혁신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첨단 기술은 새롭고 혁신적인 많은 물
건을 만들어 내며, 과거 디자인 재료가 갖고 있던 개념을 크게 바꿔 놓고 있다.
디자인 재료의 세계는 단순히 디자인의 전체적인 마무리가 아닌 다양한 에너지와
시각 정보를 제공하고 있을 뿐 아니라 사용자와 물체의 관계를 결정짓는 접촉 면으
로서 감각적인 특성과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재료의 종류는 생체를 가지고 있느냐 없느냐에 따라 나누어진다. 생체를 가지고
있는 재료를 유기 재료라고 하며 생체를 가지고 있지 않은 재료를 무기 재료라고
한다.
ਃܻझ ۄܰ݅(Joris Laarman/1979~ ހ ۈ߄(Simon Frambach/1989~ /독일) ֢٘ ਬܰѲ ݫয(Jürgen Mayer/1965~ /독일) ݫ۽ಫ ۄࣛ -
/네덜란드) - 섬세한 디자인 및 제작 झਤ - 사람의 잠재의식 속에 있는 개념을 반영한 조 세계에서 가장 규모가 큰 목재 구조물로, 에스파냐 세비야에 있다.
과정에서 큰 변혁을 시도하며 새로운 명 디자인이다. 도심에서의 레저 및 추억을 만들어 주는 건축물이다.
디자인 트렌드를 창출하고 있다.
1. 디자인 재료의 개요 2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