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44 고등학교 디자인 일반 교과서
P. 244
2 재료의 일반적 성질
재료의 성질을 디자인에 어떻게 적용해야 할까?
소재가 가지는 하중과 변형 사이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은 가공 분야에 있어 필수
적 요건이다. 재료의 성질은 크게 기계적 성질, 물리적 성질, 화학적 성질로 구분되
며 이에 따라 재료의 특징 및 쓰임새가 달라진다.
1 기계적 성질
재료의 기계적 성질이란 재료에 힘을 가했을 때, 외력에 대응해서 나타나는 그 재 외력
구조물이나 부재에 외부로부터 작
료 고유의 역학적 성질을 말한다. 기본적으로는 응력과 변형의 관계로 표시되나, 일
용하는 힘
반적으로는 이런 관계에서 얻어지는 탄성률, 항복점, 내력, 인장 강도, 압축 강도, 연신
내력
율, 굽힘 강도, 항절력, 휨, 피로 한도, 경도 등의 값에 의하여 재료의 활용 범위 또한 견뎌 내는 힘
달라진다.
인장 강도
물체가 잡아당기는 힘에 견딜 수 있
는 최대한의 응력
연성
압축 강도
연성이란 금속 재료가 탄성 한도 이상의 인장력에 의해서 파괴되는 것이 아니라 늘 물체가 어느 정도 견뎌 낼 수 있는지
그 압축력의 한도를 나타내는 수치
어나 소성 변형을 하는 성질로써, 인장력이 작용하였을 때 변형하여 늘어나는 재료
의 특성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부드러운 금속 재료일수록 연성이 크고 동일한 재료 인장력
물체를 늘어뜨리거나 잡아당기거나
에서는 고온으로 갈수록 연성이 커진다. 즉 늘어뜨리면 길게 늘어나는 재료는 연성 하는 작용
이 있는 재료라고 할 수 있다. 이처럼 연성이란 힘을 받아도 파괴되지 않고 가늘고
길게 늘어나는 성질이다.
금속의 연성을 이용한 압연 가공 재료의 연성을 이용한 귀금속 제작
242 Ⅴ. 디자인 재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