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6 고등학교 디지털 논리 회로 교과서
P. 36










2 반도체 메모리의 종류에 따른 특징

반도체 메모리로 많이 사용하는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에 대하여 알

아보자.


롬(ROM, read only memory)은 읽기 전용 메모리로 비휘발성 메모리라고도 한

다. 전원 공급이 차단되더라도 기록한 데이터는 소실되지 않으며, 다시 작성할 필요
가 없어 프로그램이나 데이터의 저장에 사용된다.
롬(ROM)은 제조 공정에서 마스크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기록하며, PROM

(programmable ROM)은 1회에 한하여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다.
EPROM(erasable PROM)은 필요시 내용을 지우고 다시 쓸 수 있으며, 미완성 프
로그램의 저장 등에 사용하며, EPROM 기록을 삭제하는 방식에 따라서 자외선으로

삭제한 후에 기록할 수 있는 EPROM과 전기적인 삭제와 기록이 가능한 EEPROM이
있다.



램(RAM, random access memory)은 읽기와 쓰기가 가능한 메모리로 휘발성 메
모리라고 한다. 전원 공급이 차단되면 기록한 데이터가 소실되는 메모리로 프로그램

이나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플립플롭(flip-flop)
1비트의 정보를 보관 · 유지할 수
정적 램(SRAM, static RAM)은 전원을 공급하면 데이터를 유지할 수 있는 플립플롭
있는 회로이며, 순차 회로의 기본
회로를 사용한 셀 구조로 되어 있어 제어가 쉽고, 읽기/쓰기 동작이 고속이며, 셀 면 요소이다. 조합 논리 회로에 비해
플립플롭은 이전 상태를 계속 유지
적이 커서 대용량화에 적합하지 않다. 하여 저장한다.
동적 램(DRAM, dynamic RAM)은 커패시터에 전하를 축적함으로 인하여 데이터 리프레시(refresh, 재충전)

를 유지하는 커패시터형 셀 구조로 되어 있어 정기적으로 리프레시 신호를 주지 않으 일정 시간 동안 방치해 둘 경우 유
실될 수 있는 정보를 계속 부활시키
면 데이터가 소실되며, 셀 면적이 작아 대용량화에 적합하나 제어가 복잡하다. 거나 다시 저장하는 것으로 동적 램
(DRAM)의 경우도 주기적으로 정보
를 다시 저장해야 한다.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는 1바이트마다 기록이 아닌 블록 단위로 삭제와 기
록이 가능하며, 기본적으로는 롬으로 분류되지만, 롬과 램의 중간적인 특성을 가지
는 메모리이다.

NOR형은 셀 면적이 크기 때문에 대용량화가 어렵지만 데이터 유지의 신뢰성이 높
으므로 에러 정정 등의 처리가 불필요하고, 또한 비트 단위로 기록할 수 있으며, 삭

제 속도가 느려 고속 동작에 적합하지 않다.
NAND형은 셀 면적이 작으므로 대용량화에 적합하며, 휴대용 음악 플레이어나 휴
대 전화기 등에서 데이터를 저장하는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34 Ⅱ. 논리 소자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