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9 고등학교 디지털 논리 회로 교과서
P. 39










롬(ROM)

디코더 메모리 배열

2 워드 X m비트
n
AND 게이트
입력선 조합 회로 OR 게이트
n개 조합 회로

n
2 워드
n
2 번지
m비트

출력선 m개
그림 Ⅱ- 6 롬(ROM)의 기본 구조


그림 Ⅵ-23 ROM의 기본 구조
•롬은 n개의 입력선과 m개의 출력선으로 구성된다.
• 입력 변수 n개의 비트 조합은 주소가 되고, 출력선에서 출력되는 m개의 비트 조합은 워
드가 된다. 이때 1워드는 m개의 비트로 구성된다.
n
n
•주소가 최대 2 개이므로 서로 다른 워드를 최대 2 개까지 저장할 수 있다.
n
•롬은 워드의 개수인 최대 2 개와 한 워드당 비트 수인 m개로 표시할 수 있다.
n
• 포함하고 있는 전체 비트 수를 ‘워드의 개수 최대 2 개×한 워드당 비트 수 m개’로 표시
하기도 한다.



2 롬(ROM)의 동작 원리

롬의 기본적인 읽기 동작은 그림 Ⅱ-7의 블록도와 같다.






어 A 입 주
드 A 력 소

스 드 디 롬(ROM) 셀 X 8비트
라 코
입 이 더
력 An 브
n개

① ②
칩 선택 출력 버퍼
주소 입력 신호가 들어오면, 입력 드 선택된 롬 셀에 기억
라이브에서 증폭된 다음 주소 디코더 된 내용이 출력 버퍼
에 의해 해당하는 번지를 선택한다. D0 D1 Dn 를 통해 데이터 출력
데이터 출력 m개 단자에 나타난다.

그림 Ⅱ-7 롬(ROM)의 기본적인 읽기 동작 블록도




2. 롬(R0M)과 램(RAM) 37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