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21 고등학교 기술가정 교과서
P. 121









휴대 전화의 발전 | 휴대 전화는 대표적인 무선 통 음성 통화만 디지털 전화 영상 통화, 고화질 영상 통화,
가능 + 문자 가능 인터넷 가능 초고속 인터넷 가능
신 기기로, 초기(1세대 이동 통신)에는 음성 통화에 국

한되었으나 기술의 발달에 따라 디지털카메라, MP3
플레이어 등 멀티미디어 기능이 잇달아 탑재되었다. 이
와 더불어 컴퓨터 지원 기능이 추가되어(3세대 이동

통신) 무선 통신의 영역이 음성 통화에서 데이터 전송
으로 확장되었다.

스마트폰은 휴대 전화에 컴퓨터 지원 기능이 추가 1세대 이동 통신 2세대 이동 통신 3세대 이동 통신 4세대 이동 통신
된 기기로, 인터넷이나 각종 앱을 이용할 수 있게 되면 그림 Ⅶ–1 휴대 전화의 발전과 세대별 이동 통신
서 음성 통신보다는 컴퓨터 지원 기능이 더 많이 사용되고 있다. ※ 출처: 한국인터넷진흥원, 2017.

다양한 웨어러블 기기의 개발 | 웨어러블 기기는 신체에 착용하거나 부착하여 일상적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Application Software의 준말로, 컴퓨터
으로 휴대하고 다니면서 컴퓨팅을 할 수 있는 모든 기기를 지칭하며, 일부 컴퓨팅 기능을 의 응용 소프트웨어를 말한다. 앱(app)이

수행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까지 포함한다. 소유한 사람의 미세한 동작을 인식하고 주 라고도 한다.
변 정보와 상황을 인지하여 필요한 정보와 기능을 제공한다.
21세기 이전의 웨어러블 기기는 모두 연구 수준에 머물렀지만, 2000년대에 이르러서

기기의 경량화, 소형화와 함께 데이터 처리 속도 및 네트워크 성능 향상이 함께 이루어지
면서 다양한 웨어러블 기기들이 개발되고 있다.

생체 이식형
신체 부착형
웨어러블 기기는
직물/의료 일체형 기술의 진화에 따라
간편하고 실용적인
액세서리형
형태로 발전할 것으로
예측된다.
• 생체에 이식할 수 있는 형태
• 생체 친화적 회로 보드 기술
• 신체에 부착할 수 있는 형태 • 생체와 일체화
• 고분자 회로 보드 기술 • 이식형 센서 및 장치
• 직물, 의류에 일체화된 형태 • 피부와 일체화
• 직물 회로 보드 기술 • 피부 접착형 센서 및 장치
• 시계, 목걸이 등 액세서리 형태 • 전도성 소재, 직물 센서 개발
• 초소형·고용량 배터리 • 스마트 웨어
• 저전력 시스템
• 스마트 워치, 스마트 안경
그림 Ⅶ-2 웨어러블 기기의 기술적 분류와 발전 단계 ※ 출처: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2013.

생활
공감 모둠별로 우리 주변에 있는 제품 중 하나를 선택하여 그 제품이 어떻게 변해 왔는지 자신의 경험을 중심으로 토의해 보자.

제품 기술의 발달에 따른 제품의 변화
UP
 흑백, 음성 통화만 가능 ⇨ 음성+문자 통화, 칼라 LCD, MP3, 카메라 ⇨ 데이터 통신,
 휴대 전화 선택한 제품을 사용하면서 자신의 생활
대형 LCD, 인터넷 기능
이 어떻게 달라졌는지 이야기해 보자.





01. 최신 기술의 발전 방향 119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