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85 고등학교 기술가정 교과서
P. 185
도면과 제도 | 만들고자 하는 제품의 모양, 크기, 구조 등을 선과 문자, 기호를 사용하 제도 통칙
한국 산업 규격(KS A 0005)에서 규정하
여 일정한 규칙에 따라 정확하고 간결하게 나타낸 것을 도면이라 하고, 이러한 도면을 작 는 것으로, 공업의 각 분야에서 사용하
성하는 일을 제도라고 한다. 는 도면을 작성할 때의 요구 사항에 대
하여 통괄적으로 규정하고 있다.
제도는 설계자와 시공자(제조자) 사이의 의사소통을 위한 도구로, 설계자는 제도 통칙
에 규정된 공통 언어를 사용하여 자신의 구상을 도면에 표현하고, 시공자(제조자)는 그
도면에 표현된 설계를 이해하여 제품을 완성한다.
도면은 아이디어를 나타내는 방식에 따라 스케치, 구상도, 제작도로 나눌 수 있다.
스케치는 머릿속에 떠오른 제품 아이디어를 빠르고 자유롭게 그리는 것으로,
프리핸드 스케치라고 불리기도 한다. 구상도는 스케치를 바탕으로 구상한 제품
의 최종 형태를 다른 사람이 알아보기 쉽도록 입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 등
각 투상법, 사투상법 등을 사용하여 표현한다.
제작도는 구상도를 바탕으로 제품의 모양, 크기, 구조 등을 정해진 규칙에 따
라 구체적으로 표현하여 실제 시공 또는 제조할 수 있도록 한 도면으로, 주로
많은 정보를 넣을 수 있는 정투상법을 사용하여 표현한다. 그림 Ⅸ-1 스케치
등각 투상법 120˚
높이
• 서로 120°를 이루는 3개의 기본 축 위에 너비 안쪽 길이
물체의 너비, 높이, 안쪽 길이를 옮겨서 정 높이 120˚120˚
30˚ 30˚
면, 평면, 측면을 모두 일정한 각도로 나타 30˚ 30˚
내는 방법이다. 너비 안쪽 길이 ❶ 그림과 같이 기 ❷ 높이, 너비, 안쪽 ❸ 불필요한 선을 제
준 선을 긋고, 높 길이를 기준으로 거하여 등각 투상
• 세 면을 동시에 볼 수 있어 제품의 설명도 이, 너비, 안쪽 길 선을 그어 물체의 도를 완성한다.
이를 나타낸다. 겉모양을 자세히
로 많이 쓰인다.
30˚ 30˚ 나타낸다.
안쪽 길이
45˚ 45˚
사투상법
• 물체의 앞면 모서리를 수평선과 평행하게 높이 높이 45˚ 45˚
하고, 안쪽 길이는 수평선과 일정한 각을 45˚ 안쪽 길이 45˚
이루게 하여 그리는 방법이다. 너비 너비
• 물체의 정면은 실물과 같게, 안쪽 길이는 ❶ 기준선 위에 물 ❷ 각 꼭짓점에서 45° ❸ 불필요한 선을
체의 정면을 실 를 이루는 사선을 제거하여 사투상
실제 길이의 1/2로 줄여서 나타낸다. 제와 같이 나타 그어 안쪽 길이를 옮 도를 완성한다.
45˚
낸다. 기고, 물체의 겉모양
을 자세히 나타낸다.
정투상법 우측면도
• 물체의 정면, 평면, 측면을 각각 보이는 대로 그리
평면도
는 방법이다.
평면도
• 정면도는 물체의 바로 앞에서 본 그림으로, 물체의
모양, 기능 등을 가장 잘 나타낼 수 있는 방향을 택
한다. 정면도가 정해지면, 이를 기준으로 하여 평면 정면도
제3면각 공간
도나 측면도를 그린다. 정면도 우측면도
그림 Ⅸ–2 등각 투상법, 사투상법, 정투상법으로 나타내는 방법
01. 창의 공학 설계 1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