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25 고등학교 공업 일반 교과서
P. 225
3 재해 이론과 예방 및 대책
재해란 안전사고의 결과로 발생한 인적·물적 손실을 말한다. 이는 현재 발생한 손
실뿐만 아니라 앞으로 일어날 가능성이 있는 모든 손실을 포함한다.
(1) 재해의 원인
재해는 일반적으로 천재, 인재, 산업 재해로 구분할 수 있다. 이 중 산업 현장에서 중대 재해
산업 안전 보건법 제2조에서는 사
일어나는 재해는 대부분 안전사고로 발생하며, 이는 중대 재해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
망 등 재해의 정도가 심한 것을 중
으므로 생산 현장에서는 철저하게 안전 관리를 실천해야 한다. 대 재해로 규정하고 있다.
•사망자가 1인 이상 발생한 재해
•3개월 이상의 요양을 요하는 부상
자가 동시에 2인 이상 발생한 재해
재해
• 부상자 또는 직업성 질병자가 동
시에 10인 이상 발생한 재해
재해는 안전사고의 결과로 일어난 인명과 재산상의 손실을 말하며
실제 발생한 사건뿐만 아니라 발생의 가능성에 관한 모두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해를 수반하는 재해와 비상해 재해까지 포함한다.
산업 재해
천재
인재 안전사고의 결과로
지진, 태풍, 풍수, 번개, 일어난 인명의 손실
이상기온, 가뭄 등의 관리 소홀, (부상, 질병, 사망)을 [그림 Ⅳ-6] 화재로 인한
자연적 재해 안전 점검 미실시, 산업 재해
인적 오류 등 입는 재해
인간 행위에 기인하여
발생된 재해
[그림 Ⅳ-5] 재해의 종류와 원인
(2) 산업 재해의 종류와 범위
산업 재해는 산업 활동 중 발생한 사고에 의해 인적・물적 손실을 일으키는 근로 산업 재해 보상 보험법
근로자의 업무상 재해를 신속하고
재해와 오염, 산업 시설이나 제품의 파손에 기인한 재해로 구분된다. 공정하게 보상하며 재해 근로자의
재활 및 사회 복귀를 촉진하고 근로
근로 재해는 근로자가 산업 활동 요인으로 인하여 부상, 질병, 사망 등의 피해를
자 보호에 이바지하는 것을 목적으
입은 인적 손실을 뜻한다. 오염은 일반 대중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인적・물적 피해를 로 하는 사회 보험
가져오며, 기계와 설비 등에 손상을 줌으로써 막대한 손실을 유발하기도 한다.
산업 재해의 범위는 산업 재해 보상 보험법에 의해 정해져 있으며, 그 내용 중 일부
는 다음과 같다.
• 업무 수행 중, 휴게 시간 중, 출·퇴근 중, 사업주가 출·퇴근용으로 제공한 교통 수단을 이용하
던 중, 행사 중, 운동 경기, 야유회, 등산 대회 등 각종 행사 참가 중에 발생한 사고
• 기타 시설물 등의 결함에 의한 사고 등
• 그 외 업무 중 발생한 질병, 분진 작업 등을 하다가 걸린 진폐증, 과로로 인한 질병 및 사망, 직
장 내 성희롱 등
1. 사고와 산업 안전 223
공업일반_4단원 김영수 0426.indd 223 2017-08-30 오후 2:32: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