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26 고등학교 공업 일반 교과서
P. 226









(3) 재해 이론

산업 재해에 관한 대표적인 이론에는 하인리히의 도미노 이론과 버드의 신도미노 애덤스의 재해 이론
애덤스(Adams, E.)는 관리자나 감독
이론이 있으며, 이외에도 애덤스의 재해 이론이 있다.
자 등의 관리 기술직을 맡은 사람의
실수에 의해 재해가 발생한다는 재
1 하인리히의 도미노 이론 해 이론을 펼쳤다.
도미노 이론은 미국의 하인리히(Heinrich, H. W.)가 확립한 것으로, 산업 재해를 도
하인리히의 1:29:300 법칙
미노 현상에 빗대어 설명하고 있다. 도미노를 일렬로 세워 놓고 한쪽 끝을 넘어뜨리 산업 재해가 발생하여 중상자가 1
명 나오면 그 전에 같은 원인으로
면 세워진 순서를 따라 연쇄적으로 반응하며 쓰러지는데, 이때 가운데 놓인 도미노 발생한 부상자가 29명 존재하고,
부상당할 뻔했던 잠재적 부상자가
하나를 제거하면 더는 도미노가 넘어가지 않는다. 300명 있었다는 것이다. 즉, 큰 재

산업 현장의 재해도 이와 같아서 하나의 작은 사고가 연쇄적으로 반응하여 큰 재 해와 작은 재해, 사소한 사고의 발
생 비율이 1:29:300으로 일어날 수
해로 발전하므로 앞선 사고의 직접 원인을 제거하면 더 큰 재해로 이어지지 않는다 있다고 주장한 법칙이다.
는 이론이다.
1
큰 사고
제거
29
불안전한 직접 원인 작은 사고
행동 및 상태 300
(잠재적 위험) 잠재적 징후들

(안전 의식 미흡)
사회적 환경 개인적인 결함 사고 재해 TIP
및 유전적 요소
(인명 경시)
• 사회적 환경 및 유전적 요소: 생
활환경, 태도, 인간관계 등
• 개인적 결함: 개인의 선천적 후천
적으로 형성된 성격, 적성, 지식과
잠재적 위험 표출된 위험 사고 발생 기술의 부족 등의 개인적 결함
• 불안전한 행동: 안전장치 제거,
[그림 Ⅳ-7] 하인리히의 도미노 이론 안전 수칙 미 준수 등
• 불안전한 상태: 각종 기계, 기구,
설비 등의 결함
2 버드의 신도미노 이론
버드(Bird, F. E.)는 하인리히의 도미노 이론을 개선하여 신도미노 이론을 주장하였 TIP

버드의 1:10:30:600 법칙
다. 하인리히가 사고의 직접 원인을 제거해야 한다고 주장한 반면, 버드는 사고를 처
중상 1건에 대하여 경상 10건이 발
음 발생시킨 기본 원인의 제거가 가장 중요하다고 주장하였다. 그는 재해가 발생하 생하고, 1건의 중상 사건은 30건의
재산 손실 사고를 수반하며, 그 주
는 과정을 5단계로 나누어 설명하였다. 변을 살펴보면 600건의 무재해 사
고가 있었다는 법칙이다.
제거

통제 부족 기본 원인 직접 원인 사고 재해
(1단계) (2단계) (3단계) (4단계) (5단계)
•안전 관리 제도 •사고의 배후 •불안전한 행동 • 한계를 넘은 •근로자의 상해
•조직, 지도 •근원적 원인 •불안전한 상태 에너지원의 접촉 •재산의 손실
•관리 소홀 •유해 물질 접촉

[그림 Ⅳ-8] 버드의 신도미노 이론

224 IV. 산업 안전과 환경 오염






공업일반_4단원 김영수 0426.indd 224 2017-08-30 오후 2:32:32
   221   222   223   224   225   226   227   228   229   230   2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