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7 고등학교 공업 일반 교과서
P. 27










2 식품 공업

식품 공업은 자연에서 얻은 농산물, 수산물, 축산물 등의 식품 가능 부위를 선별하 인터넷
고, 이를 이용하여 여러 가지 가공 식품을 생산하는 가공 산업이다. •한국식품산업협회
www.kfia.or.kr
•식품의약품안전처
(1) 식품 공업의 특징 www.mfds.go.kr
•농림축산식품부
식품 공업은 인간의 식생활에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건강한 삶을 유지하고 향상시 www.mafra.go.kr
키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신선한 원료를 수집하여 처리 및 가공함으로써 부가 가치가 부가 가치
높은 식품으로 생산·포장·판매하며 표준화, 위생화 등이 요구되는 특징이 있다. 생산 활동의 결과로 만들어진 생산
물의 가치에 인건비, 이자, 이윤을
덧붙인 가치를 말한다.
(2) 식품 공업의 발달 과정
TIP HACCP
식품 공업은 제조업자 중심의 생산 체제에서 소비자 중심의 다품종 소량 생산 체 HACCP는 위해 요소 분석(Hazard
Analysis)과 중요 관리점(Critical
제로 전환되었으며, 오늘날에는 지속적인 인건비 상승과 제품의 고급화에 대한 소비 Control Point)의 영어 머리 글자를

자의 욕구가 커지면서 생산 설비가 자동화되었다. 또한 식품 표시에 대한 IT 기술의 딴 약자로서, ‘식품 위해 요소 중점
관리 기준’이라는 의미이다. 가축의
활용으로 현행 가공식품의 품질 표시 기준 및 표시 정보를 과학적이고 명확하게 할 사육, 도축, 포장, 유통의 전 과정과
최종 소비자가 섭취하기 전까지 각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었다. 이는 소비자 중심의 정보 제공과 가공식품의 품질 향상 단계에서 위생에 해로운 영향을 미
칠 수 있는 위해 요소를 사전에 방
에 이바지할 것이다. 지하기 위한 위생 관리 시스템이다.

[표 Ⅰ -6] 우리 나라 식품 공업의 발달 과정

연대별 내용
•1962년 전체 공업 중 식품 공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34%
1960년대
• 1960년대 후반 국민 소득의 향상으로 식용유, 통조림, 맥주, 낙농 제품의 생산 증가
• 정부의 중소기업 진흥책 및 농어민 소득 증대 정책과 함유 제품 등이 호황
1970년대
• 식품 공업의 비중이 1975년에는 12.3%로 저하
• 1980년대 국민 경제가 점차 고도 산업 사회 구조형으로 이행됨에 따라 식생활 개선,
1980년대 품질의 고급화 및 다양한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욕구 증대 다양한 통조림
• 인스턴트 식품, 스낵류 등 편의 식품의 수요 증가
•국민 경제의 향상과 더불어 본격적으로 기호도 식품 개발 산업이 발달
1990년대
• 1996년에는 식품 공업의 비중이 전체 총 생산액의 6%를 다소 넘어섬.
2010년대 • 2014년 식품 산업 규모는 163.7조원으로 2004년 비해 78.2% 증가
<출처: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육가공 제품
[그림 Ⅰ-11] 식품 공업
공업 자료실 GMO란 무엇인가? 제품들

GMO(Genetically Modified Organism)는 ‘유전자 변형 농산물(농림축산식품부)’
을 뜻한다. 유전자 변형 기술을 활용하여 재배·육성된 농·축·수산물 및 미생물과 이

를 원료로 제조·가공한 제품은 정부가 안전성을 평가하여 입증한 경우에만 식품으
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를 ‘유전자 변형 식품(식품의약품안전처)’이라 부른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유통되는 GMO 식품은 약 50여 개 정도가 있고, ‘GMO-FREE’ 표시
제를 시행함으로써 소비자가 안전한 제품을 선택하여 구입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GMO FREE 표시 제품

2. 경공업의 개요 25






공업일반_1단원 김영수 0426.indd 25 2017-08-30 오전 11:29:48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