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8 고등학교 공업 일반 교과서
P. 28










3 신발 공업

신발 공업은 운동화, 구두, 등산화, 트레킹화, 실내화 등을 제조·판매하는 공업으
로, 최근에는 신발이 발을 보호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인체 공학적인 측면까지 확대

되고 있으며, 섬유 공업과 더불어 패션화하고 있다.

(1) 신발 공업의 특징

신발 공업은 설비 장치나 초기 자본이 적게 드는 공업으로, 수작업이 많지만 특수
전문화를 제외하고는 세계적으로 표준화된 공업이다. 신발 공업은 완제품 제조업,

부품 제조업, 소재 제조업의 세 부분으로 이루어지며, 주요 소재인 가죽 및 직물 산
업과 석유 화학, 기계 산업 등 관련 산업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특징이 있다.


(2) 신발 공업의 발달 과정 신발 공장

신발 공업은 고령화와 더불어 여가 활동과 소득 증가에 따른 건강 체육 활동이 확
대됨에 따라 다시 일어나고 있다. 신발이 발 보호 기능 외에 척추나 뇌에 대한 충격
완화 등 첨단 의료 기능적인 측면까지 확대되면서 노동 집약형에서 기술 집약형 산업

구조로 개편되고 있다. 현재 우리 기업들이 국내는 물론, 중국이나 베트남 등지에 글
신발 제품
로벌 브랜드 OEM 생산 공장이나 개발 공장을 세워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우리나라
[그림 Ⅰ-12] 신발 공장과
의 신발 공업은 글로벌화 추세에 맞추어 특수 기능화 제품을 개발하는 등 고부가 가 제품
치 산업으로 전환하고 있으며, 새로운 마케팅 전략과 독자적인 자체 브랜드를 개발하
OEM(Original Equipment
는 노력을 하고 있다. 또한 인공 지능 신발 및 최첨단 소재·부품 개발에 집중력을 강 Manufacturing)

화하여 수출하는 산업으로 탈바꿈하는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주문자 상표 부착 생산이라고 하며
위탁 생산이라 부르기도 한다.

[표 Ⅰ -7] 우리나라 신발 공업의 발달 과정
연대별 내용

• 스포츠화의 경우 1970년대까지는 일본, 1980년대에서 1990년 초까지는 한국이 주
1960 ~
요 공급 기지
1990년대
• 1990년 이후부터 중국과 동남아시아 지역이 공급 기지로 급부상
• 국내 생산액은 연평균 4.9% 감소, 업체 수는 연평균 2.5% 감소, 고용은 연평균
14.3% 감소
1990 ~
• 2008년에는 제조 업체 수 520개, 고용 13.3천 명, 생산액 1조 999억 원을 기록하
2000년대
였으며, 전체 제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업체 수 기준 0.9%, 고용 기준 0.5%, 생
산액 기준 0.26%를 차지함.
• 2010년에는 1990년 대비 90% 이상 감소한 4.4억 달러 수준에 불과하였으며, 수입
실적은 12.6억 달러를 기록하여 무역 수지 적자폭이 매년 커짐. 주력 수출품이었던
2010년대
피혁제 운동화의 생산 기지의 해외 이전에 따른 OEM 수출의 급감과 중국산 중저가
운동화의 수입이 크게 증가한 데 따른 현상임.




26 I. 산업 사회와 공업의 개요






공업일반_1단원 김영수 0426.indd 26 2017-08-30 오전 11:29:50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