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09 고등학교 공업 일반 교과서
P. 309










생생 생 현장 정보 고졸 취업자의 취업 목표에 따른 직업 만족도 차이


고등학교 재학 때 취업 목표를 설정했던 고졸 취업자의 직장 생활 만족도가 별다른
취업 목표도 없이 학교를 다니다가 직장에 들어간 고졸 취업자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
타났다.



취업 목표 무 취업 목표 유

상사 및 동료 관계
직무 내용
인사 체계
전체 임금 또는 소득 현 직장 안정성 근무 환경 일하는 시간 개인의 발전 가능성 복리 후생 제도 사회적 평판 자율성과 권한


3.82
3.66 3.63 3.63
3.52
3.45 3.48 3.45 3.49 3.52 3.39
3.31 3.36 3.39 3.32 3.34 3.22 3.34 3.19 3.19 3.32
3.05 3.08
2.93





✽만족도 평균은 5점 리커트 척도(① 매우 불만족 ② 불만족 ③ 보통 ④ 만족 ⑤ 매우 만족)의 평균값임.




한국고용정보원 김◯◯ 연구 위원은 2011년에 고등학교를 졸업한 후에 취업에 성공한 3,952명의
직장 만족도를 분석했더니 위의 그림과 같은 결과가 나왔다고 밝혔다. 분석에 따르면, 취업 목표가
있던 사람의 직장 만족도는 5점 만점에 3.45점이었고 취업 목표가 없던 사람은 3.31점으로, 두 집단
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취업 목표를 설정했던 고졸 취업자의 직장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구체적으로 현 직장의 안정성, 직무 내용, 근무 환경에서 취업 목표가 있던 사람이 그렇지 않은 사
람보다 만족도가 높았다. 개인의 발전 가능성, 상사 및 동료 관계, 복리 후생 제도, 인사 체계, 사회적
평판, 자율성과 권한 등에서도 취업 목표를 갖고 있던 집단의 직장 만족도가 높게 나왔다. 또한 똑같
이 고등학교에 다니면서 취업 목표를 갖고 있었더라도, 졸업 후에 원하는 직장에 들어간 사람은 그렇
지 못한 사람보다 직장 만족도가 더 높게 나왔다. 취업 목표를 달성한 사람은 그렇지 못한 사람보다
임금을 비롯해 현 직장의 안정성, 직무 내용, 근무 환경, 일하는 시간, 개인의 발전 가능성, 상사 및 동
료 관계, 복리 후생 제도 등 전반에 걸쳐 만족도가 높았다.
김 연구 위원은 “이번 분석으로 청소년 시기에 진로나 취업 목표를 설정하면 졸업 후에 더 만족스
러운 직장 생활을 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확인했다”며 “학교와 가정에서 청소년들이 구체적이고 도
전적인 진로와 취업 목표를 세울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해야 한다”라고 말하였다.
<출처: 한국고용정보원, 2015.>









1. 직업 세계 307






공업일반_5단원 김영수 0426.indd 307 2017-08-30 오후 2:51:51
   304   305   306   307   308   309   310   311   312   313   3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