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5 고등학교 회계 정보 처리 시스템 교과서
P. 25









3 계정



회계에서는 일정 기간의 거래를 항목별로 기록하기 위해 계정을 사용한다.



 계정의 뜻

계정(account)은 회계상의 거래가 발생할 때 자산 및 부채, 자본, 수익, 비용에 속
하는 여러 항목을 각기 구분하여 기록·계산하는 단위를 말한다.

현금 계정, 상품 계정 등과 같이 계정에 붙이는 이름은 계정 과목이라 하고, 계정을
기록·계산하는 장소는 계정 계좌라고 한다. 계정은 왼쪽과 오른쪽으로 구분되어
있는데, 왼쪽을 차변(debtor), 오른쪽을 대변(creditor)이라 하고 그 차액을 ‘잔액’이

라고 한다.


 계정의 기입 방법

계정의 형식은 표준식과 잔액식이 있으며, 학습 편의상 일반적으로 T자형 계정을 ■ 질문 있어요

많이 사용한다. 계정의 기입 방법은 다음과 같다. Q: 계정의 기입이 재무 상태표 및
포괄 손익계산서와 밀접한 관련
이 있나요?
차변 요소 (차변) 자산 계정 (대변) 대변 요소 A: 그렇습니다. 각 계정에 기입된
자산의 증가 증가 (+) 감소 (-) 자산의 감소 잔액은 재무 상태표와 포괄 손
자산의 증가
자산의 감소
익계산서 작성의 기초 자료가
(차변) 부채 계정 (대변) 되기 때문입니다.
부채의 감소 감소 (-) 증가 (+) 부채의 증가
부채의 증가
부채의 감소
(차변) 자본 계정 (대변)
자본의 감소 감소 (-) 증가 (+) 자본의 증가
자본의 증가
자본의 감소
(차변) 수익 계정 (대변)
수익의 소멸 소멸 (-) 발생 (+) 수익의 발생
수익의 발생
수익의 소멸
(차변) 비용 계정 (대변)
비용의 발생 발생 (+) 소멸 (-) 비용의 소멸
비용의 발생
비용의 소멸
그림 Ⅰ-7 각 계정 요소의 증감


계정 기입의 원칙


모든 회계상의 거래에서 거래 내용을 각 계정마다 차변과 대변 중 어느 쪽에 얼마의 금액을 기입하는가를 말한다.
① 자산 계정 - 증가를 차변에 / 감소를 대변에 기입 / 항상 차변에 잔액
② 부채 계정 - 증가를 대변에 / 감소를 차변에 기입 / 항상 대변에 잔액
③ 자본 계정 - 증가를 대변에 / 감소를 차변에 기입 / 항상 대변에 잔액
④ 수익 계정 - 발생을 대변에 / 소멸을 차변에 기입 / 항상 대변에 잔액
⑤ 비용 계정 - 발생을 차변에 / 소멸을 대변에 기입 / 항상 차변에 잔액


3. 회계의 순환 과정 23






회계정보-3차제출본.indb 23 2017-09-06 오후 5:38:17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