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69 고등학교 정보 처리와 관리 교과서
P. 169









(3) 장소

청중의 기호와 프레젠테이션의 목적에 맞게 프레젠테이션을 준비하였지만 프레젠 정보
테이션이 진행되는 장소(Place)와 환경이 의도하였던 상황과 다르다면 그 프레젠테이
프레젠테이션의 구성 요소를 정
션은 실패로 끝날 확률이 높다. 성공적인 프레젠테이션을 위해서는 장소의 크기, 사용 의하는 다른 시각
발표자, 메시지, 청중을 프레젠테이
가능한 프레젠테이션 도구, 마이크 및 조명 시설, 좌석 배치 등을 미리 점검하고 파악
션의 구성 요소로 본다.
해 놓아야 한다. • 발표자: 프레젠테이션을 실행하
는 사람으로, 신뢰감 있는 태도와
행동, 절제되고 호소력 있는 목
프레젠테이션 3P에 대한 이해 소리, 논리와 감성이 조화를 이룬
언어 사용 능력을 기본 역량으로
갖추어야 한다.
청중 목적 장소 • 메시지: 발표자가 청중에게 전할
(People) (Purpose) (Place)
내용으로, 청중을 자세히 분석하
고 최대한 이해하여 자신의 의도
가 청중에게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메시지를 구조화한다.
• 청중: 발표자가 전하는 메시지를
프레젠테이션에 참여하여 정보 청중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 프레젠테이션 장소의 여건 및 듣는 사람으로, 청중의 판단에 따
와 대안을 탐색하려는 사람 하여 이를 기초로 효율적인 대 구조, 환경 등을 면밀하게 검토 라 프레젠테이션의 성공 여부가
안을 찾는 것 결정되므로 발표자는 자신이 전
달할 내용뿐만 아니라 청중이 자
① 청중은 누구(일반/전문가) ① 명확한 목표를 제시할 수 ① 발표 장소는 미리 파악하 신에게 듣고 싶어 하는 내용이 무
인가? 있는가? 였는가? 엇인지에 대해서도 고민하고 이
해해야 한다.
② 청중의 요구(Needs)를 ② 청중들이 기대하는 것을 ② 장비와 발표 자료를 시연
아는가? 예상할 수 있는가? 해 보았는가?
③ 의사 결정권자나 기술 분 ③ 사전에 모든 정보를 파악
석 담당이 참석하는가? 하고 준비하였는가?




2 프레젠테이션의 제작 과정

일반적인 프레젠테이션은 발표할 내용을 기획하여 내용에 맞는 발표 자료를 설계
하고 여러 도구를 활용하여 슬라이드를 제작한 뒤 발표 연습과 예행연습을 통해 최종

발표하는 과정으로 진행된다.

프레젠테이션의 제작 과정 구분

기획 설계 제작 발표
예상 질의서를 작성하여 Q&A
시간을 준비한다면 더 완성도
있는 발표를 할 수 있어요!
• 목표 설정 및 주제 • 정보 수집(인터넷, • 원고 작성 • 예행연습
선정 자료실, 신문, 인맥 • 핵심 용어 추출 및 • 예상 질의서 작성
• 아이디어 구상 활용) 슬라이드 내용 구성 • 프레젠테이션 발표
• 발표 계획 수립 • 청중, 장소 분석 및 • 슬라이드 디자인 • 자체 평가 및 개선
시간 확인 안 도출
• 시나리오 작성
• 스토리보드 작성

2. 프레젠테이션 제작 167
   164   165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