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87 고등학교 정보 처리와 관리 교과서
P. 187









③ 문제가 있는 부분은 내용을 충분히 숙지하고 자연스러워질 때까지 연습한다.

④ 불필요한 내용이나 모호한 주장은 삭제하고 정리한다.
⑤ 돌발 상황을 예측하고 예상 질문에 답변하는 연습을 한다.
⑥ 최종 예행연습은 발표 현장에서 실제 장비를 연결해서 시행하고, 문제점이 발견

되면 과감하게 수정한다.

(2) 장비 및 환경 점검

프레젠테이션을 하기 전에는 다음과 같이 장비와 환경을 점검하는 것이 중요하다.


프레젠테이션의 점검 종류 및 방법

•소프트웨어 설치 여부 및 버전, 글꼴 확인
프로젝터 •프로젝터 작동 여부 및 스크린의 크기
슬라이드 •적용한 애니메이션 효과의 작동 여부
및 • 연출하려는 효과가 해당 스크린에서 구현 가능한지의 여부
•슬라이드에 삽입한 각종 동영상 등 재생 여부
스크린 • 프로젝터와 컴퓨터를 연결하는 케이블의 이상 유무
•무선 도구 작동 여부, 원거리에서의 작동 여부
• 마이크 작동 상태, 마이크를 들고 최대 이동할 멀티 •동영상 등을 삽입한 링크 연결 여부
무선 도구
수 있는 거리 미디어 •음향 효과의 적절한 작동 여부
•무선 마이크인 경우 여분의 배터리 휴대 여부
•동선을 방해하는 장애물의 유무
무대 •무대에 패인 부분이나 걷다가 위험한 곳의 유무
노트북 •배터리 충전 여부, 전원 케이블 유무
•바닥에서 삐걱 소리가 심하게 나는지의 여부




(3) 각종 프레젠테이션 도구 점검

프레젠테이션을 시작하기 전에는 다음과 같은 각종 프레젠테이션 도구들을 충분히
준비하고 점검해야 한다.



프레젠테이션의 도구 점검 방법



컴퓨터 발표 대본

• 슬라이드 파일이 현장의 컴퓨터 환경과 맞지 않아 • 간단한 문장, 핵심 내용만을 요약하여 14쪽 이내
실행에 지장이 생기지 않도록 자신의 노트북을 준 의 분량으로 작은 크기의 노트에 작성한다.
비해 가는 것이 좋다.



프레젠테이션 리모컨과 마이크
레이저 포인터
• 미리 프레젠테이션 장소의 음향 기기의 출력 상태
• 슬라이드를 넘기기 위한 무선 리모컨은 사전에 실행 를 파악하여 자신의 목소리 크기와 톤을 어떻게
버튼을 확인하여 자연스럽고 부드럽게 사용한다. 유지할 것인지 방향을 결정한다.
• 레이저 포인터가 심하게 흔들리면 청중의 집중도 • 평소 연습을 통해 자신의 목소리 크기와 톤, 유지
가 떨어지므로 주의한다. 시간을 미리 파악해 둔다.

3. 프레젠테이션 발표 185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