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90 고등학교 정보 처리와 관리 교과서
P. 190
2 마무리
발표가 끝나면 질의 및 응답과 피드백을 통해 발표의 완성도를 높인다.
(1) 질의 및 응답
프레젠테이션의 마지막 과정은 청중의 질문에 답변하는 것이다. 발표자가 논리적으 정보
로 설득력 있게 발표하였다고 해도 청중의 질문에 잘 답변하지 못한다면 프레젠테이 잘 모르는 내용에 대해서 질문을
션에 실패하고 만다. 발표자는 예상 질의 응답지를 만들어 돌발 상황에 대비하고 청 받았을 때
자신이 알고 있는 범위 내에서 설
중이 자연스럽게 질문하도록 배려하고 경청하며 질문에 간단명료하게 대답한다. 명한 뒤 미비한 부분은 질문자에게
후속 조치를 약속한다. 객석에 전
문가가 있다면 추가 답변이 가능한
질의 응답 안내 질문자 지목 질문 내용 경청 지 확인하여 답변해도 된다.
질문자가 너무 멀리 있어서 질문
공식적인 질문 질문자를 주시하며 질문자와 마주보며 을 못 들었을 때
시간이며 전체 소요 손바닥을 위로 하여 시선을 맞추면서 발표장에 준비된 마이크가 있으면
시간을 공지 질문자를 지목 질문을 끝까지 경청 전달하고 그럴 수 없는 경우에는
상황에 맞게 다른 방법을 동원한다.
질문자의 질문 내용이 장황하여
답변하기 어려울 때
질의 응답 질문 범주가 너무 크면 답변하는
시간입니다. 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추후
개인적으로 답변해 주겠다고 약속
한다.
아무도 질문하지 않았을 때
아무도 질문하지 않는다면 청중이
궁금한 것이 없을 만큼 발표가 완
벽하였거나 반대로 청중이 전혀 집
중하지 못하였음을 의미한다.
감사 인사 답변 질문 내용 코멘트
질문에 대한 답변 내용과 근거를 질문자에게 긍정적인
감사를 표한 후 전달하고 이해 여부를 태도를 보이며
다음 질문 받기 확인 질문 내용을 재확인
(2) 자체 평가 및 개선안 도출(피드백)
프레젠테이션을 마치면 최종 평가 자리를 마련해 참여 인원이 한 자리에 모여 잘못
된 점과 개선 방안을 서로 이야기하고 정리하여 다음 프레젠테이션에 참고하도록 한
다. 특히 발음, 동선, 복장, 제스처, 위기 대처 능력 등 특별히 훈련한 부분뿐만 아니라
청중에 대한 후속 조치까지 전반적인 성과와 문제를 발견할 수 있도록 주변 사람들의
의견을 구한다. 프레젠테이션 후 시간적 여유가 있다면 프레젠테이션을 촬영한 동영
상을 분석하는 것도 좋다.
188 Ⅳ. 프레젠테이션 실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