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30 고등학교 정보통신 교과서
P. 130










읽을 거리
인공위성(satellite) 전송
인공위성이란 인공적으로 행성 주위를 회전하도록 만든 물체들을 말한다. 세계 최초의 인공위성은 1957년 10월 4일에 발

사한 소련의 스푸트니크 1호이며, 대한민국 최초의 인공위성은 1992년 8월 11일에 발사한 우리별 1호이다. 현재 50개국 이
상이 인공위성을 운용하고 있지만, 인공위성 발사는 10개국에서만 이루어졌다. 수백 개의 인공위성이 현재 작동중이지만, 수
천 개의 폐기된 인공위성과 그 조각들이 지구 궤도상에 존재한다. 아무 표시도 없어 보이는 하늘에도 항공기들이 다니는 길
이 있는데, 인공위성 역시 정해진 길로 다닌다. 인공위성의 길을 궤도라고 하며, 궤도는 인공위성의 임무에 따라 달라진다.
인공위성은 비행하는 궤도에 따라 정지 궤도 위성, 중간 궤도 위성, 저궤도 위성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정지 궤도(Geostationary Earth Orbit) 위성

지구 표면 위 22,300마일(36,000km)의 궤도에 떠 있다. 지구의 자전 주기와 궤도 위치에 머무는 시간이 같아 지구 표면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하여 지상의 수신자는 GEO 위성을 추적하지 않아도 되며 케이블 채널 운영 회사가 TV 프로그램을 전
송하는 데 효과적이다. 단점으로는 전파를 송수신 하는 데 25초의 전파 지연 현상이 생긴다.

•중간 궤도(Medium Earth Orbit) 위성
지구 표면 위 6,000마일(2,000~36,000km)의 궤도에 떠 있다. MEO의 궤도는 송수신 범위가 좁기 때문에 지구 전체를 덮
기 위해 더 많은 위성이 필요하다. GEO에 비해 저렴하고 전파 지연이 적다. 하지만 지표면 위를 움직이기 때문에 수신자는
위성을 추적해야 한다.

•저 지구 궤도(Low Earth Orbit) 위성
지구 표면 위 400~700마일(2,000km) 이하의 궤도에 떠 있다. 지구와 가깝기 때문에 전파 지연이 없으며 작은 신호로도
송수신이 가능하다. 소형 위성이기 때문에 저전력으로 움직이고 발사비가 저렴하다. 다만, MEO처럼 지구 위를 움직이기 때
문에 추적해야 하며, LEO는 MEO에 비해 더욱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추적이 더 어렵다. 송수신 범위도 좁기 때문에 많은 수
가 필요하다.


이와 같은 인공위성을 이용한 사례로, 위성 항법 시스템과 위성 인터넷이 있다.

•위성 항법 시스템(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세계 어느 곳에서든지 인공위성을 이용하여 지구상에서 자신
의 위치를 알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 GPS는 전세계가 공유
하는 24개의 중간 궤도 인공위성으로 작동한다. 3~4개의 위성
의 거리를 이용해 3m의 오차 범위로 기지국 및 사용자의 위치

를 파악하며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지도에 표시할 수 있다.
•위성 인터넷(Satellite Internet)

전화 접속, 디지털 가입과 회선, 인터넷을 할 수 없는 상태의
사용자가 정지 궤도 위성을 이용하여 인터넷에 접속을 할 수
있다. 이때, 정지 궤도 위성을 이용하기 때문에 지연 현상이나
번개와 같은 기상 현상에 영향을 받는다.








128 Ⅲ. 네트워크 구축





정보통신 3차제출본.indb 128 2017-09-06 오후 4:24:25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