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33 고등학교 정보통신 교과서
P. 133









1 이더넷의 종류와 특징




기가비트 이더넷의 특징을 설명해 보자.



이더넷은 분산된 컴퓨터 간에 데이터를 교환해 주는 통신 체계 중의 하나로, LAN
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프로토콜 중 하나이다.



1 이더넷의 역사


이더넷은 10Mbps의 대역폭을 갖는 백본 망으로, 전송 방식은 CSMA/CD이고 표준 백본 망(Backbone Network)
연결되어 있는 소형 회선들로부터
안은 IEEE 802.3이다.
데이터를 수집해 빠르게 전송할 수
있는 대규모 전송 회선

• 1977 Xerox에 의해 동축 케이블 기반 이더넷 개발(10Base5) CSMA(Carrier Sense Multiple
• 1885 IEEE 802.3 소위원회서 동축 케이블 기반 이더넷 표준화(10Base5, 10Base2) Access)
• 1990 IEEE 802.3i 소위원회에서 UTP 기반 이더넷 표준화(10Base-T) LAN의 각 클라이언트가 동시에 통
신회선을 사용할 때 발생할 수 있는
• 1995 IEEE 802.3u 소위원회에서 100Mbps 고속 이더넷(Fast Ethernet) 표준화(100Base-
충돌을 막아 주는 프로토콜
TX/FX)
• 1998 IEEE 802.3z 소위원회에서 1Gbps 기가비트 이더넷(Gigabit Ethernet) 표준화 이더넷의 명칭
(1000Base-SX/LX/CX) Ethernet은 ether(에테르, 전파의
• 2002년 IEEE 802.3ae 소위원회에서 10Gbps 10기가비트 이더넷(10Gigabit Ethernet) 표 매체)를 동축 케이블 안에 가두어
놓고 동축 케이블을 전파의 매체로
준화(10GBase-S/L/E)
사용한다는 의미
이더넷의 명명
10Base-5/2/T
2 이더넷의 종류 ‘10’은 10Mbps 속도
‘Base’는 베이스밴드(Baseband)
IEEE가 규정한 이더넷은 10Base5, 10Base2, 10BaseT의 3가지 기본 형태가 있다. ‘5’, ‘2’는 동축 케이블 방식이며,
500m, 200m의 거리를 의미,
‘T’는 Twisted Pair 케이블을 의미
(1) 10Base5/10Base2 이더넷

10Base-5나 10Base-2는 컴퓨터의 네트워크 카드를 연결하기 위해 AUI, BNC 타

입의 커넥터가 사용된다. 또한 케이블과 컴퓨터가 연결되는 부분에 트랜시버나 T 커
넥터들이 사용되며 케이블 종단에는 신호를 흡수하는 터미네이터가 설치된다.

AUI
NIC (Attachment Unit Interface)
(Network Interface Card) 트랜시버 케이블 BNC-T
최대 50m 케이블 터미네이터
동축 케이블 커넥터
동축 케이블 최대 185m
최대 500m

MAU 케이블 터미네이터 NIC
(Medium Attachment Unit) (Network Interface Card)
트랜시버

그림 Ⅲ-13 10Base-5 네트워크 구성도 그림 Ⅲ-14 10Base-2 네트워크 구성도

2. LAN 종류 131






정보통신 3차제출본.indb 131 2017-09-06 오후 4:24:29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