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46 고등학교 정보통신 교과서
P. 146
3 신호 변환 장치
트랜시버(transceiver) 신호 변환 장치는 LAN 카드에서 출력된 데이터를 전송 매체에 적합한 형태로 변환
컴퓨터나 리피터 등 네트워크 장비
를 이더넷에 접속시킬 때 사용되는 해 주는 장비이다. 만일 LAN 카드가 이더넷인 경우에는 신호 변환 장치는 트랜시버
접속 장비로, 전송 매체 상에서 발 가 된다.
생하는 데이터의 충돌을 검출하고
전송 매체와 LAN 장비 간의 전기적
절연 역할도 수행
4 전송 매체
LAN에서 사용되는 전송 매체로는 꼬임선, 동축 케이블, 광섬유 등이 있고, 각각의
용도에 따라 사용된다. 무선 LAN의 경우 전파 등을 사용한다.
5 기타 장비
LAN을 구성하기 위한 장비에는 리피터, 브리지, 허브, 라우터, 회선 종단 장치, 게
이트웨이 등이 있다.
(1) 리피터(Repeater)
리피터는 거리가 멀어질수록 생기는 신호의 감쇠를 증폭, 재생시키는 장치로, 동일
한 통신망 구조를 갖는 LAN을 연결할 경우에만 사용이 가능하다.
(2) 브리지(Bridge)
브리지의 종류 브리지는 LAN과 LAN을 서로 연결하는 장비로, OSI 참조 모델의 데이터 링크 계층
• 로컬 브리지: 동일 지역 내에서 에 해당된다. 브리지가 리피터와 다른 점은 서로 다른 유형의 LAN끼리 연결이 가능
다수의 LAN 세그먼트를 직접 연
결할 때 사용 하다는 점이다.
• 리모트 브리지: 서로 다른 지역
간에 다수의 LAN 세그먼트들을 아래 그림은 리모트 브리지를 이용한 네트워크 구성으로, 리모트 브리지 사이는
연결하는 역할
CSU/DSU를 통해 연결된다.
전용망
전용 모뎀 전용 모뎀
리모트 브리지 (DSU/CSU) (DSU/CSU) 리모트 브리지
DSU: Digital Service Unit~64Kbps 이상
CSU: Communication Service Unit 64K~1.54Mbps
그림 Ⅲ-24 리모트(REMOTE) 브리지를 이용한 네트워크 구성
144 Ⅲ. 네트워크 구축
정보통신 3차제출본.indb 144 2017-09-06 오후 4:24: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