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47 고등학교 정보통신 교과서
P. 147
(3) 허브(Hub)
허브는 여러 대의 컴퓨터를 접속하기 위한 장비이다. 또 허브 간 접속에 따라 네트
워크 확장이 가능하며, 이를 캐스케이드 접속이라고 부른다. 허브는 전송 중 깨진 수
신 신호를 복원하여 다른 포트에 송신하고, 신호의 충돌 검사를 행하는 리피터의 기 스태커블 허브(Stackable Hub)
1대의 인텔리전트 허브에 여러 대
능을 수행한다. 허브의 종류에는 더미 허브와 스위칭 허브, 스태커블 허브, 인텔리전 의 더미 허브를 연결하여 많은 포트
를 제공하고 SNMP 기능을 지원함.
트 허브 등이 있다.
인탤리전트 허브(Intelligent Hub)
① 더미 허브(Dummy Hub)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을 이용하
전송 신호를 전달하거나 증폭 시키는 역할만 하는 단순한 허브로, 사용자의 수에 여 망 관리가 가능하며, 허브 내에
브리지와 라우팅 기능을 갖기도 한
따라 속도가 감소한다.
다. 또 동일 지역 내에 다른 LAN을
구성할 수 있게 한다. 지능형 허브
② 스위칭 허브(Switching Hub) 라고도 함.
통신 효율을 향상시킨 허브로, 대역 폭이 커서 여러 개의 입력을 동시에 받을 수
있다. 수신 단말기의 주소 번지를 파악하여 특정 포트로만 데이터를 보낼 수 있다.
스위칭 허브
스위칭 허브
각 단말에 고정 대역 폭 제공
허브
(4) 라우터(Router)
라우터는 서로 다른 구조를 갖는 네트워크를 접속할 수 있어 LAN과 WAN을 연결
하는 데 사용된다. 또한 효율적인 경로를 선택하는 라우팅 기능, 네트워크 내의 혼잡
상태를 제어하는 기능, 오류 패킷의 폐기 등의 기능도 수행한다.
네트워크 1
세그먼트 1 한 네트워크
라우터
브리지
라우터
세그먼트 2
네트워크 2
그림 Ⅲ-25 브리지와 라우터 비교
3. LAN의 구성 요소 145
정보통신 3차제출본.indb 145 2017-09-06 오후 4:24: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