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0 고등학교 정보통신 교과서
P. 20
3 정보 통신 표준화 기구의 필요성과 활동
생활 속에서 적용되는 정보 통신 표준화 사례를 살펴보자.
정보 통신의 효율화를 위한 표준화의 필요성이 제기되었고, 표준화 단체가 설립되
어 전 세계적으로 정보 통신의 표준화를 이루게 되었다.
1 정보 통신 표준화의 필요성
표준이란, 여러 사람들 간에 빈번히 그리고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거래 관계, 생산
방식 또는 절차에 대하여 미리 일정한 협의를 거쳐 공통적인 사항을 기술한 약속 문
서이다. 정보 통신 분야에서는 유・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있는 각종 정보 시스
템이 다양한 형태의 정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이용하는 데 있어 통신 주체 간
프로토콜(protocol) 에 합의된 규약, 즉 프로토콜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규약의 집합을 정보 통신 표준이
컴퓨터가 정보를 주고받을 때의 통
신 방법에 대한 규칙이나 약속 라고 한다.
19세기 이후 전화와 무선 통신이 발달하였고 20세기 데이터와 정보 통신이 발달
하게 되었다. 초기에는 종류가 다른 통신 장비와는 호환이 되지 않아서 정보 통신
및 하드웨어 자원 등을 공유하기가 어려웠다. 이에 1976년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
(CCITT)에서 여러 가지 프로토콜을 하나로 통합하여 제정할 것을 권고하였고, 국제
표준화기구(ISO)에서 OSI 참조 모델을 발표하여 여러 가지 표준화된 프로토콜을 개
발하게 되었다.
표 Ⅰ-1 정보 통신 표준화의 역사
정보 통신 표준화 주요 내용
전신기 발명, 전화기 발명 1844년, 모스, 세계 최초의 전기 통신, 1876년 벨, 전기 통신 대중화
모스 신호 발명 1895년, 마르코니, 무선 통신 시대의 개막, 정보 통신 표준화의 시작
데이터 통신 1960년대를 전후한 컴퓨터의 등장, 현대적 의미의 정보 통신 표준 제정
국제전신연합(ITU) 설립 1865년, 전기 통신 분야의 국제 표준 제정
국제전기표준회의(IEC) 출범 1906년, 전기 및 전자 분야의 국제 표준화 활동 시작
만국규격통일협회(ISA) 설립 1926년, 전기·전자 분야 이외의 모든 분야에 대한 국제 표준화 시작
국제표준화기구(ISO) 설립 1947년, 국제적표준화기구, 표준화된 프로토콜 제정
디지털 이동 통신 규격 표준화 1992년, 유럽디지털이동통신규격 GSM 채택
IMT-2000 무선 접속 규격 표준화 2005년, ITU-R 세계전파총회(RA)에서 IMT-2000 무선 접속 규격 채택
와이브로(WiBroTM) 규격 표준화 2006년, 국제전기통신연합전파통신부문(ITU-R), 국제 참조 표준 채택
4세대 이동 통신 규격 2010년, LTE A, 2016년 이후 GIGA 인터넷
18 Ⅰ . 정보 통신의 기초
정보통신 3차제출본.indb 18 2017-09-06 오후 4:22: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