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06 고등학교 정보통신 교과서
P. 206
(1) 광대역 통합망의 특징
광대역 통합망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IoT(Internet of Things)
사물 인터넷(IoT)은 각종 사물에 센 ① 다양한 서비스를 용이하게 하는 개방형 플랫폼 기반의 통신망이다.
서와 통신 기능을 내장하여 인터넷 ② 보안, 품질 보장(QoS), IPv6가 지원되는 통신망이다.
에 연결하는 기술
③ 음성과 데이터, 유선과 무선, 통신과 방송을 융합하는 통합망이다.
④ 네트워크나 단말기에 구애받지 않으며, IoT, 유비쿼터스 등을 지원하는 통신망이다.
(2) 광대역 통합망의 서비스
인터페이스(interface) 차세대 통신망이라고 할 수 있는 광대역 통합망은 서비스 계층을 비롯해 제어·전
사물의 경계가 되는 부분과 그 경계
에서의 통신 및 접속이 가능하도록 송망·가입자망 등의 계층으로 구분되고, 표준 인터페이스에 의해 서로 접속된다. 광
하는 매개체
대역 통합망을 구축하면 유·무선의 통합으로 집 안과 밖에서 같은 단말기로 전화와
Open API(Open Application 인터넷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가전 제품이나 움직이는 자동차 등을
Programming Interface)
인터넷 이용자가 일방적으로 웹 검 연결해 원격으로 제어하고 위치 추적도 가능해지는 등 유비쿼터스 홈 네트워킹 시대
색 결과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UI)
등을 제공받는 데 그치지 않고 직접 가 본격화된다.
응용 프로그램과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도록 공개된 API
응용 서비스
응용 서비스
FTTH(Fiber to the home)
‘가정 내 광케이블’ 또는 ‘댁내 광
케이블’로 불리는 광케이블 가입자 Open API
망 방식으로, FTTP(Fiber to the
premises)라고도 함.
QoS Security IPv6
QoS
IPv6
Security
유·무선 통합 음성·데이터 통합 통신·방송 통합
유선 통신 광대역 전화 인터넷 CATV DMB
FTTH 무선 통신
홈 네트워크 U-센서 네트워크 융합형 정보 단말
그림 Ⅳ-7 광대역 통합망 서비스와 기능
광대역 통합망(BcN)은 무엇인가?
광대역 통합망(Broadband convergence Network; BcN)은 통신·방송·인터넷 등을 통합한 광대역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안전하게
제공할 수 있는 품질보장형 통합 네트워크를 뜻한다. 유·무선 통신, 방송, 인터넷 등 서로 다른 네트워크의 기능을 융합해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NGN(Next Generation Network: 차세대 네트워크)으로 국제 표준인 NGN에 통신과 방송의 융합이라는 개
념을 포함시켜 브랜드화한 의미이다. 서비스 계층을 비롯해 제어·전송망·가입자망 등의 계층으로 구분하고, 표준 인터페이스에 의
해 서로 접속된다.
204 Ⅳ. 정보 통신 응용
정보통신 3차제출본.indb 204 2017-09-06 오후 5:01: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