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11 고등학교 정보통신 교과서
P. 211
1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이 개발된 이유와 특징을 살펴보자.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은 디지털 영상 및 오디오 방송을 전송하는 기술이
다. 휴대용 기기에서 TV, 라디오, 데이터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이동용 멀티미디어
방송을 목적으로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개발되었다.
1 흑백 TV 방송
비월주사
1931년 미국에서의 시험 방송을 시작으로, 우리나라는
• 보통 화면의 한 장면은 525개의
1966년 금성(LG전자)이 흑백텔레비전을 최초로 만들어서 시 수평 주사선으로 구성되는데, 1
개 간격으로 뛰어 넘어 주사하는
험 방송하였다. 발신 측에서는 휘도 신호(Y신호)를 전송하 방식임.
• 홀수 필드를 순차 주사하고 짝수
고, 수상기에서는 주사선 525개와 다른 동기신호를 사용하
필드를 주사하여 하나의 화면을
고 비월주사하여 브라운관에 화상을 나타내는 것이 흑백텔레비전의 원리이다. 만드는 방식
NTSC(National Television
System Committee)
2 컬러 TV 방송 • 미국의 텔레비전 표준 방식 검토
위원회에서 규정한 방식
컬러텔레비전은 색채 신호가 적색, 녹색, 청색의 3원색 • 주사선 수는 525이다, 필드 주파
수는 60(59.94)Hz, 라인 주파수
영상 신호로 구성된 방송을 일컫는 말이다. 우리나라는 는 15.750(15.734)Hz
• 색부 반송파 주파수는 3.579545
1980년 12월 1일에 KBS 1TV에서 국내 최초로 컬러텔레비 MHz 음성 반송파 주파수는
4.5MHz임.
전 방송을 시작하였다. 우리나라의 컬러텔레비전 방식은
PAL(phase alternative by
미국의 NTSC가 흑백텔레비전의 양립성을 목표로 개발한 방식으로, 미국과 일본, 캐나
line)
다 등에서도 이 방식으로 방송하고 있다. 휘도 신호를 흑백 TV와 같이 4MHz의 대역으 • 1962년 독일의 텔레푼켄사가 개
제안하고 1967년에 실용화된 컬
로 보내고, 색의 정보를 전달하는 I신호, Q신호는 각각 1.3MHz, 0.5MHz로 대역을 제한 러텔레비전 표준 방식
• PAL은 초당 25프레임의 주사율
한 후, 3.58MHz의 색부 반송파를 진폭 변조하여 휘도 신호에 중첩하여 전송한다. 을 가져 NTSC에 비교했을 때 프
레임에서는 뒤지지만, 625라인
의 수직 주사선을 가져 더 많고
3 케이블 TV 더 높은 대역폭을 사용하여 해상
도가 높음.
• PAL은 위상 왜곡에 영향을 받지
케이블 TV는 TV 방송의 난시청 해소를 목적으로 1949년
않으나 흑백 수상기로 수신할 수
미국에서 개발되었는데, 가입자의 욕구가 증대됨에 따라 단 없고, 유럽ㆍ호주ㆍ중국ㆍ북한
등에서 이 방식을 채택해 사용하
순 중계에서 광대역·다채널의 쌍방향 기능과 컴퓨터와 결 고 있음.
합한 음성·영상·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하게 되었다. 동축 쌍방향 기능 케이블 TV
승차권이나 레스토랑 예약은 물론
케이블의 경우 약 50채널, 광파이버 케이블은 약 100채널 이상의 광대역을 전송할 다수를 대상으로 하는 여론 조사, 홈
수 있고, 위성 통신 및 광통신 시스템과의 응용 결합도가 높다. 쇼핑, 홈 뱅킹, 데이터 검색, 홈 시큐
리티 시스템, 원격 의료가 가능함.
4. 정보 통신 응용 서비스 209
정보통신 3차제출본.indb 209 2017-09-06 오후 5:01: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