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12 고등학교 정보통신 교과서
P. 212









4 인터넷 TV


인터넷 TV는 초고속 인터넷을 이용하여 정보 서비스, 동영상 콘텐츠 및 방송 등을
텔레비전 수상기로 제공하는 서비스를 말한다. 주문형 비디오(VOD), 디지털 영상 저

장(DVR) 서비스, 인스턴트 메시지 전송 서비스 등을 제공한다.
인터넷 방송의 등장은 인터넷 관련 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웹 보급이 큰 역할을 하
였다. 기술적인 측면에서는 스트리밍 기술의 급속한 발전이 인터넷 방송의 등장을

주도하였다.


5 디지털 TV 방송


디지털 TV의 영상 압축 규격 디지털 TV 방송은 음성과 영상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압축하여 전송하는
• 미국 주도의 ATSC 방식은 NTSC 것이다.
에서 발전했으며 대용량 정보 전
송과 고화질이 가능함. 영상 압축 기술을 사용하면 동일한 폭의 주파수로 더욱 많은 정보가 전달되므로
• PAL에서 발전한 유럽 주도의
DVB 방식은 화질이 떨어지는 반 아날로그 TV 방송의 3~6배에 이르는 고화질(HD) 영상과 영화 수준의 음향 전달이
면, 난시청 지역이 적음.
가능하며, 채널 수도 3~6배 많다.
우리나라의 디지털 TV 방송
1997년 11월 ATSC 방송 방식을 (1) 위성 DMB
채택했으며, 2013년부터 전국 지
상파 디지털 방송 시대가 개막됨.
위성 DMB는 디지털 비디오, 오디오 및 데이터 등의 방송 프로그램 신호를 위성 송
DMB 방송
신 설비와 지상 중계 설비를 이용하여 극초단파로 방송하는 서비스이다.
이동 중인 개인 단말기에서도 영상과 음성을 전송받을 수 있어 휴대 전화와 차량
용 수신기 (내비게이션)에 많이 탑재된다.


(2) 지상파 DMB

지상파 DMB는 지상에서 주파수를 이용하여 프로그램을 전송하는 이동 수신용 멀
티미디어 방송이다. 2005년 12월 우리나라에서 세계 최초로 본방송과 상용화에 성공

한 지상파 멀티미디어 방송(T-DMB)은 2007년 12월 국제 전기 통신 연합(ITU)의 국
제 표준으로 선정되었다.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이 개발된 이유와 특징은 무엇인가?

DMB는 아날로그 라디오를 대체하기 위해 유럽에서 만든 디지털 오디오 방송인 DAB(Digital Audio Broadcasting)에 바탕을 두고 있
다. 아날로그 방식인 FM/AM 라디오는 애초에 고정된 장소에서 수신하기 위해 개발됐기 때문에, 이동 중에 수신할 때 음질이 떨어
지고 넓은 주파수 대역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반면, DAB는 빠르게 움직이는 차량에도 고품질의 음성을 제공하며 문자, 이미
지 등의 부가 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우리나라는 2005년 세계 최초로 DMB 방송을 시작하며 DMB 종주국의 자리를 확고히
하고 있다.



210 Ⅳ. 정보 통신 응용





정보통신 3차제출본.indb 210 2017-09-06 오후 5:01:36
   207   208   209   210   211   212   213   214   215   216   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