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9 고등학교 정보통신 교과서
P. 39









2 정보 통신망의 구성 형태와 특징




가정과 학교에서 사용하는 정보 통신망의 형태를 알아보자.



현대 사회는 효율적이고 다양한 형태의 정보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있다.


1 정보 통신망의 구성 형태


정보 통신망은 컴퓨터와 단말기, 컴퓨터와 컴퓨터 등의 전송 매체를 이용하여 기

하학적으로 배치한 컴퓨터 통신망의 구조를 의미한다. 정보 통신망은 규모, 목적 등
을 고려하여 적합한 형태로 구성해야 한다. 또 정보 통신망의 확장성, 경제성, 전송
효율성 등을 고려하여 가장 적합한 형태의 통신망을 선택해야 한다.



2 정보 통신망 구성 형태의 종류별 특징

정보 통신망의 구성 형태는 스타형, 버스형, 링형, 트리형, 그물형으로 분류된다.


(1) 스타형

스타형(Star Topology)은 중앙에 컴퓨터나 교환기가 있고, 주변에 분산된 단말기가
1 : 1 또는 1 : N 형태로 연결되어 있다. 컴퓨터와 모든 단말기는 각각의 통신 회선을
이용하여 연결되므로 통신 회선이 많이 필요하며 중앙의 컴퓨터나 교환기가 통신망

을 제어한다.

▲ 스타형
(2) 버스형

버스형(Bus Topology)은 버스라는 하나의 통신 회선에 여러 대의 단말기를 접속하
는 방식이다. 단말기의 추가, 변경, 제거 등이 비교적 용이하나 버스에 장애가 발생했

을 때 네트워크 전체에 영향을 미친다. 버스를 흔히 백본(Backbone)이라고도 하며,
단말기가 버스에 T자형으로 어댑터를 통하여 연결되며 터미널을 둔다. 보편적으로
▲ 버스형
많이 사용되는 망구조이다.

(3) 링형

링형(Ring Topology)은 컴퓨터와 각 단말기들이 서로 이웃하는 것끼리만 연결하는

형태로서, 각 스테이션들이 링처럼 연결된 구조를 말한다. 링형은 단말기가 증가해도
버스 방식에 비해 속도의 감소가 심하지 않으므로 비교적 큰 네트워크에 많이 사용

되며 광섬유의 특성에 잘 부합되어 주로 FDDI에 사용된다. ▲ 링형

3. 정보 통신망의 형태 37






정보통신 3차제출본.indb 37 2017-09-06 오후 4:23:08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