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3 고등학교 정보통신 교과서
P. 43
1 공중 전화망과 패킷망
PSTN과 PSDN의 차이점과 활용 사례를 살펴보자.
공중 전화망은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망을 말하며 전화 서비스에 사용된다.
패킷은 데이터를 전송할 때 분할하는 단위를 말한다.
1 공중 전화망
공중 전화망(PSTN)은 초기에 음성 데이터 서비스를 주로 제공했으나 모뎀 기술의 공중망과 사설망
• 공중망은 넓은 지역에 분포하는
발달로 데이터 통신, 팩시밀리, 비디오텍스 등 데이터 통신 서비스도 제공하고 있다. 불특정 다수의 이용자에게 음성
이나 데이터 전송 서비스를 제공
PSTN의 데이터 통신 서비스는 56kbps의 속도가 가능하며, 현재 전화국에서 가입
하는 정보 통신망(PSTN, Public
자까지의 종단 링크 부분을 제외하고는 거의 디지털 방식으로 변화되었으나 대역폭 Switched Telephone Network)
• 사설망은 사용자가 통신 사업자
에 제한을 받는 단점이 있다. 로부터 임대받아 독점적으로 사
용하는 회선으로, 주로 LAN에서
PSTN은 장거리 기반 시설을 자체 보유하고 있어 이를 통해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 기지국끼리 직접 연결하기 위해
사용함.
한다. 인터넷 서비스 제공 사업자(ISP)는 PSTN망에서 제공하는 고속의 전용 회선을
대역폭
임차한 후 패킷 교환 방식을 통해 다수의 사용자들이 자기 회사에서 제공하는 서비
일정한 시간에 전송할 수 있는 데이
스를 이용하도록 하고, 월정액의 접속료만 받으면서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 터의 최대 용량
ISP(Internet Service Provider)
인터넷 서비스 제공 사업자
소프트스위치
전화망 PSTN
라우터 게이트웨이 교환기
약간의 데이터 전송 오류는 허용하
통화 나 지연은 허용하지 않음.
인터넷망
(ISP)
사용자 모뎀
그림 Ⅰ-19 PSTN 서비스를 제공하는 ISP와 사용자
2 패킷망
패킷(PSDN)은 우체국에서 취급하는 소포(package)와 덩어리를 뜻하는 버킷
(bucket)의 합성어로서 화물을 적당한 덩어리로 나눠 행선지를 표시하는 꼬리표를
붙여 표시한 것을 데이터 통신에 접목한 것이다. 데이터 통신에서 패킷이란 데이터를
분할하여 수신 주소와 제어 및 오류 신호를 포함한 2진수 그룹을 말한다. 데이터를
전송할 때에는 패킷이라는 전송 단위로 데이터를 분할하여 전송한 후, 다시 원래의
데이터로 재조립하여 처리한다.
4. 정보 통신망의 종류 41
정보통신 3차제출본.indb 41 2017-09-06 오후 4:23: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