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82 고등학교 정보통신 교과서
P. 82
4 도메인 네임 시스템의 동작 원리
인터넷 통신을 위한 TCP/IP 패킷에는 도메인 네임을 위한 공간이 없기 때문에 IP
주소를 알기 위해 도메인 네임에 대한 IP 주소로 변환하는 작업을 하게 된다. 예를
들면 클라이언트의 어떤 응용 프로그램이 한국인터넷진흥원 홈페이지, 즉 www.kisa.
or.kr로 접속하려고 할 때 도메인 네임 시스템의 동작 원리는 다음 그림과 같은 순서
대로 진행된다.
(2) 웹 페이지 주소 질의(재귀 질의)
(3) 웹 페이지 주소 반환(해당 IP 주소 반환)
(4) www.kisa.or.kr에 대한 질의 Root DNS 서버
(5) www.kisa.or.kr에 대한 실주소 반환
네임 서버
.com .org .net .or.kr
(1) 웹 주소 (7) www. 호스트의 IP 주소에 대한 반환 (6) www. 호스트 IP 주소에 대한 질의
질의 (8) 한국인터넷진흥원
IP 주소 반환
한국인터넷진흥원 네임 서버
(9) 웹 페이지 요청
(10) 웹 페이지 반환
www mail DB
그림 Ⅱ-5 DNS 동작 원리
DNS의 기본 동작 과정으로, 사용자가 요청한 도메인 네임에 대한 IP 주소를 얻어
오기 위해 가장 먼저 Local DNS 서버에게 요청을 수행하게 된다.
Local DNS 서버는 사용자가 요청한 도메인 네임에 대한 IP 주소를 알고 있는 것인
지를 먼저 확인하고, 알고 있을 경우에는 다른 DNS 서버와의 연동없이 바로 사용자
에게 요청한 도메인 네임에 대한 IP 주소 값을 전달한다. 하지만 알지 못하는 도메인
네임일 경우에는 다른 DNS 서버와 통신하여 해당 도메인 네임에 대한 IP 주소를 알
아내어 사용자에게 제공하게 된다.
(1) URL
우리는 인터넷을 통해서 원하는 정보를 얻을 수 있고, 특정 누구와 이메일을 주고
받거나 특정 파일을 업로드 및 다운로드 등을 할 수 있다. 이러한 모든 작업들은 컴
퓨터 네트워크의 정보 자원(resource)을 이용하는 행위라고 할 수 있다.
인터넷의 눈부신 발전으로 인해 방대해진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내가 원하는 정보
자원 위치 지정자 자원을 찾기 위해서는 해당 자원의 위치와 종류를 정확히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이를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나타내는 일련의 규칙을 URL이라고 부른다.
따라서 URL에는 컴퓨터 네트워크 상에 여기저기 퍼져 있는 특정 정보 자원의 종류
와 위치가 기록되어 있다.
80 Ⅱ. 인터넷 통신
정보통신 3차제출본.indb 80 2017-09-06 오후 4:23: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