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83 고등학교 정보통신 교과서
P. 83
(2) URL의 이름 구성
URL의 대체적인 구조는 다음과 같다.
http:// www.somehost.com /pub/img/2016/0611 /nmms_215656753.gif
➊ ➋ ➌ ➍
http: http는 프로토콜을 의미하며 웹 브라우저(인터넷 익스플로러, 파이어 폭스, 크롬 등)를
1 이용하여 인터넷 상의 웹 서버에 접속하여 각종 웹 문서나 그림 등을 표시하기 위한 규약이
다. 따라서 위의 URL은 일반적인 인터넷 서핑을 위한 것임을 알 수 있다.
www
www.somehost.com: 사용자가 접속하고자 하는 컴퓨터의 주소로서 somehost.com은 도
컴퓨터에 각종 문서나 파일들을 보
2 메인 네임을 의미하고, www는 somehost.com이라는 도메인에 속한 컴퓨터 중 접속하고자 관하고 웹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접
하는 컴퓨터의 이름을 나타낸다. 따라서 사용자는 somehost.com이라는 도메인의 www라 속한 사용자에게 특정 문서나 파일
는 이름을 가진 컴퓨터에 접속한 것을 알 수 있다. 들을 전송해 주는 웹 서버 컴퓨터
pub/img/2016/0611: 디렉터리(파일 경로 또는 폴더)를 의미한다. 위의 경우 somehost.
3 com 도메인의 www라는 이름을 가진 컴퓨터의 하드 디스크에 pub라는 이름의 디렉터리가
있으며, 해당 디렉터리 안에는 img라는 디렉터리, 그 안에는 2016이라는 디렉터리, 또 그
안에는 0611이라는 디렉터리로 이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DNS의 구성 요소
• 도메인 네임 스페이스
nmms_215656753.gif: 사용자가 인터넷을 통해서 얻고자 하는 정보 자원(그림 파일, 문 DNS는 거대한 네이밍 시스템이
4 서 파일 등)의 이름을 나타낸다. 위의 URL 주소는 somehost.com 도메인의 웹 서버 컴퓨터 며, 도메인 네임 스페이스는 이러한
DNS가 저장/관리하는 계층적 구조
안에 저장된 nmms_215656753.gif라는 이름의 그림 파일을 보기 위한 것임을 알 수 있다.
• 네임 서버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하는
것을 네임 서비스라고 하며 리졸버
로부터 요청받은 도메인 이름에 대
간혹 URL 주소 중에서 http://www.somehost.com과 같이 디렉터리 경로와 파일 한 IP 주소 정보를 다시 리졸버로
전달해 주는 역할을 수행함.
의 이름이 생략된 경우가 있다. 이 경우는 해당 웹 서버 컴퓨터의 관리자가 미리 정
•리졸버(해석기)
해 놓은 기본 디렉터리의 기본 제공 파일을 뜻하게 된다. 기본 디렉터리는 웹 서버마 리졸버는 웹 브라우저와 같은 DNS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네임 서버로
다 설정해 놓는 경로는 다르지만 기본 제공 파일은 보통 index.html이나 default.html 전달하고, 네임 서버로부터 정보
(도메인 이름과 IP 주소)를 받아 클
인 경우가 많다. 라이언트에게 제공하는 기능 수행
DNS 서버의 종류로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DNS 서버는 수행하는 역할에 따라 1차 도메인 서버(Primary DNS Server), 2차 도메인 서버(Secondary DNS Server), 캐싱 서버
(Caching Only Server) 등으로 구분된다.
1. 1차 도메인 서버: 도메인에 대한 정보를 수정, 삭제하는 권한을 가지며, 기본적인 도메인 네임에 대한 질의 응답을 수행하는 서버
이다.
2. 2차 도메인 서버: 1차 도메인 서버의 자료를 백업해 두고, 문제 발생 시 백업용으로 사용한다.
3. 캐싱 서버: 관리하는 도메인은 없으며 오직 클라이언트와 DNS 서버 간의 중계 역할을 수행하는 서버이다.
2. 인터넷의 체계 81
정보통신 3차제출본.indb 81 2017-09-06 오후 4:23: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