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81 고등학교 프로그래밍 교과서
P. 181
빅데이터 분석가
전문 영역에 따라서 분석 기획자, 소프트웨어 개발자, 데이터 관리자, 시각화 담당자로 세분화되기도 하지만, 전체적
으로는 모두 빅데이터 분석가가 하는 일이라 할 수 있다.
빅데이터 분석가의 업무는 빅데이터를 어떻게 추출하고, 어디에 활용할 것인지 기획을 하는 일로부터 시작된다. 기
획 후 빅데이터가 확보되면 분석 플랫폼(소프트웨어 기반의 분석 환경)을 개발하고 실제 빅데이터를 분석한다.
대용량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플랫폼 개발 및 빅데이터 분석 업무를 할 때에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분석하고 개발하
며, 개발된 알고리즘을 응용하는 작업을 한다.
빅데이터 분석가에게 필요한 직무 능력은
가장 기본적으로 빅데이터 분석 시스템을 개발
하려면 빅데이터 알고리즘 분석 능력과 프로그래
밍 능력이 기본적으로 필요하다.
우리나라에는 통계학이나, 수학, 컴퓨터 공학을
전공한 사람들이 빅데이터 분야에서 활동 중이
다. 빅데이터 분석은 최근 나타난 새로운 직무이
기 때문에 다양한 기관에서 재직자 및 업무 준비
자를 위한 교육을 하고 있다.
통계 및 데이터마이닝과 인공지능 분야에서 시
작했기 때문에 정확하고 수준 높은 알고리즘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데이터마이닝과 인공지능에
대한 지식이 필요하다.
빅데이터 분석은 컴퓨터 공학과 통계학 등 다양
한 관련 학문이 통합되어 있기 때문에 통계 및
컴퓨터 공학적 지식 이외에 비즈니스 컨설팅에
대한 이해, 데이터 분석을 위한 설계 기법 활용, 자료 시각화 등에 관한 전문적인 역량이 필요하다.
빅데이터 분석가가 분석하는 자료가 산업계의 다양한 분야의 자료이므로 해당 업종에 대한 이해 능력도 필요하다.
더불어 최근 트렌드 및 빅데이터와 관련한 새로운 기술 내용, 관련 기사나 논문 등을 발빠르게 파악하려는 자세와
빅데이터 분석은 혼자 할 수 없는 일이므로 의사 소통 능력, 협업 역량을 겸비하는 것이 필요하다.
직업 속으로 꿈&끼 179
(책)2015프로그래밍-교과서3차심의본 본문.indb 179 2017-09-05 오후 4:16: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