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57 고등학교 프로그래밍 교과서
P. 57
IT 산업의 꽃, 프로그래머!
프로그래머의 필요한 직무 능력은
소프트웨어·전산·정보 처리 등을 전공한 뒤 정보 기술(IT) 회사나 기업의 전산 부서에 취업하는 게 일반적이다.
비전공자라도 실무 능력이 뛰어나면 취업이 가능하다. 다른 직종과 달리 프로그래머 채용 시엔 실무 능력을 우선으
로 보기 때문이다. ○○의 남△△ 연구원은 “우리 회사 개발자의 절반은 컴퓨터 공학 전공자이다. 하지만 나머지는
기계·산업 공학·수학·물리학·화학·영문학·경영 정보 등 다양한 전공을 가졌다.”라고 말했다. 물론 취업에 성공하
려면 각종 국가 기술 자격을 갖추는 게 유리하다.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정보관리기술사·컴퓨터시스템응용기술사·정보처리기사·정보처리산업기사·정보
처리기능사 자격 시험이 있다. 대학 부설 전자 계산원·직업 훈련원·사설 학원의 프로그래밍 과정을 이수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여기에 오라클·HP·마이크로소프트 등 외국 시스템 소프트웨어 개발 업체 및 관련 기관에서 시행하는 민간 국제
공인 자격을 더하면 경쟁력이 훌쩍 높아진다.
국제공인 자격증은 해외 취업에도 도움이 된다. 외국어 실력이 유창하지 않아도 영어로 된 기술 언어 정도는 읽고
쓸 수 있고, 실무 능력이 뛰어나면 해외 IT 기업에 취직할 수 있다. 글로벌 기업에 입사하면 국내뿐 아니라 전 세계
를 대상으로 한 프로젝트에 본사 개발팀과 함께 참여할 수 있어 경험과 배움의 폭이 넓어지게 된다.
꼭!
이것만은
•첫째, 프로그래머로서 기술적인 능력(프로그래밍 능력)이 있어야 한다.
C, C++, Objective C, C# 등의 프로그래밍 언어를 일부라도 다룰 줄 알아야 하는데, 프로그래밍
언어에 나름대로 자신감이 있어야 다음 단계로 넘어갈 수 있다.
•둘째, 개발자로서 프로그램 작성하는 것을 좋아하고 새로운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의미를
두어야 한다.
어려운 환경에서도 끊임없는 노력과 시도를 하는 것은 대부분의 개발자들이 이런 동기에서 출
발했기 때문이다. 단순한 기술자가 아닌 개발자로서의 창의력과 해결 능력은 바로 그 동기
에서 생겨난다.
•셋째, 팀의 일원으로서 팀 작업에 헌신해야 한다.
개인차를 인정하고 자신의 역할에 최선을 다하려는 노력과 서로에 대한 배려, 부족
한 부분에 대한 질타보다는 보완해 주려는 자세가 중요하다.
직업 속으로 꿈&끼 55
(책)2015프로그래밍-교과서3차심의본 본문.indb 55 2017-09-05 오후 4:15:58